.jpg)

분야
#사유의 빛 #빛이 흐르는 세계
대표 약력 학력 2019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회화전공 박사 졸업 2012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회화과 석사 졸업 2007 세종대학교 예체능대학 회화과 졸업 개인전(20회) 2024 초대전, 빛과 바람의 길, 미앤갤러리, 서울 2024 초대전, 빛이 흐르는 세계(The World Where Light Flows), 갤러리 칠이공구, 수원 2024 초대전, 마음의 빛, 아트보다, 서울 2023 초대전, 빛의 사유(思惟), 아트컨티뉴 갤러리, 대전 2023 초대전, 소우주-세계를 품은 빛, 갤러리 마무, 하남 2022 초대전, 하루의 빛과 사랑으로, 갤러리 미르, 대구 2022 기나긴 삶은 빛이 되어: 생명의 탄생, 성장, 영원의 세계, CICA 미술관, 김포 2021 끝없는 빛의 여정(Endless Journey of Lights), 레드엘 갤러리, 대전 2018 빛의 공간-Flowing Star, 갤러리 탐, 서울 2018 초대전, 우주-Journey of Light, Somerset Palace Seoul, 서울 2017 박사학위 청구전, 흐름의 공간(Space of Flow),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서울 그룹전(56회) 2024 초대전, 나의 아름다운 정원 Mon beau Jardin(2인전), 포브 갤러리, 서울 2024 초대전, 나의 우주 My Universe(2인전), 갤러리탐(탐앤탐스 블랙 압구정점), 서울 2023 초대전, 삼성물산×플리옥션 기획전, 삼성 래미안 아트갤러리, 서울 2023 초대전, Rising(2인전), 아트보다, 서울 2022 초대전, FLEA;GROUND, KT&G 상상마당 갤러리, 서울 2022 우리는 누구나 어린이였다, 하랑 갤러리, 서울 2021 One to Two, Adm 갤러리, 서울 2021 초대전, 더 아트 서울: 한 채, 돈의문박물관마을, 서울 2021 은평문화재단 문화예술시장 활성화 사업: 예술시장 다다, 은평문화예술회관 숲속극장, 서울 2021 Step-by-Step, 아트온행거 작가 미술장터, 광교 앨리웨이 어라운드라이프동, 수원 2021 Gangnam Start-up&Art Festival, ADM 갤러리&TIPS TOWN S2, 서울 2021 서울시 신진미술인 지원사업: 모두에게 멋진 날들(Wonderful days for all), 서울자유시민대학, 서울 2021 1st 아트 New 모어, 갤러리 아트컨티뉴, 서울 2020 초대전, 한여름밤의 꿈, 차아뜨 갤러리, 양주 2018 Seoul New Face Art, 뚝섬 전망문화콤플렉스 자벌레, 서울 2018 Project Zebra, 예술공간 봄, 수원 2018 육인의 육호(Six to Six), 갤러리 815, 서울 2018 우수작가전, 조선일보 미술관, 서울 2017 초대전, 공감의 온도, 마음을 나누다, 분당 서울대학교 병원 Space U, 성남 2016 Korean Wunderkammer, Fondazione Luciana Matalon, Milano, Italy 2016 초대전, Coevolution- 공진화, 최정아 갤러리, 서울 2016 서울미술대상전,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미술관, 서울 2016 초대전, 서울모던아트쇼: Young Artist Wall 40m,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2015 겨울이야기, 경민 현대미술관, 의정부 2015 CICA 현대사진전, CICA 미술관, 김포 2015 아시아 현대미술 청년작가전,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서울 아트페어(25회) 2024 초대전, 인천아트쇼, 송도 컨벤시아 전시장 2~4홀, 인천 2024 초대전, K-아트페어 대전, 대전컨벤션센터 제2전시장, 대전 2024 초대전, 제9회 조형아트서울, 코엑스 B홀, 서울 2024 초대전, 제13회 BAMA 부산국제화랑아트페어, 벡스코 제1전시장, 부산 2024 초대전, 제11회 뱅크아트페어, 롯데호텔 서울, 서울 2024 초대전, The Giaf 더그랜드아트페어, 서울신라호텔, 서울 2023 초대전, 제12회 서울아트쇼, 코엑스 A홀, 서울 2023 초대전, 제8회 명동국제아트페스티벌 K·ART SHOW SEOUL, 롯데호텔 서울, 서울 2023 초대전, 국제블루아트페어, 파라다이스 부산 호텔, 부산 2023 초대전, 제2회 조형아트서울 호텔아트쇼, JW 메리어트호텔 서울, 서울 주요 수상 2007 세종대학교 예체능대학 수석상(수석 졸업), 세종대학교, 서울 작품 소장 인천미술은행, 서울특별시청,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세종대학교, 기업&갤러리&개인 소장 다수 -작가 노트- 작가는 매 순간마다 역동적으로 흐르는 빛의 생명력을 응시하고 성찰하는 과정에서 ‘사유의 빛’을 바라보고 탐구한다. 삶 가까이에서 포근하게 흐르는 빛의 온기는 바람을 타고 시공간을 유영하면서 찬란하고 역동적인 풍경의 세계로 나아간다. 이를 토대로 작품은 강렬한 빛의 태동으로부터 영원한 미래로 나아가는 생명의 여정을 동적 이미지로 구체화하여 빛과 생명이 흐르는 세계를 형상화한다. 표현의 측면에서 빛과 운동성에 대한 회화 연구는 2차원의 화면 안에 운동하는 상태의 이미지가 응집되는 과정으로 전개되며, 작품은 긴 시간 동안 다층적으로 물감을 쌓아올리는 중첩 과정을 통해 밀도 높은 작품으로 완성된다. 특히 작품은 검은색에 가까운 짙은 화면에서 시작하여 다채로운 유화 물감을 8~10겹 내외로 중첩하여 완성한다. 어두운 화면에서 점점 빛을 밝히는 과정을 통해 깊은 울림이 있는 빛을 발견하고 형상화한다. 3~6개월에 걸쳐서 완성된 작품의 시간과 유화 물감을 여려 겹으로 쌓아올리는 과정은 가시적인 시공간의 세계와 내면으로 흐르는 빛의 운동성을 가장 극대화할 수 있는 표현 연구이다. 그 표현의 과정에서 작가는 가시화와 비가시화의 경계에 있는 풍경과 대기에 흩뿌려진 빛의 흔적을 역동적인 힘의 표현으로 담아낸다. 특히 창작의 과정에서 색채의 표현은 다양한 방향으로 분산되고 교차되는 물감의 궤적에 의해 거대한 캔버스의 표면 안에 용해되면서 운동성에 대한 표현 연구를 심화해 간다. 이처럼 순간적인 빛의 이미지와 운동성에 관한 회화 연구는 작가가 추구하는 풍경의 세계로 확장되어 나아간다. 평생 동안 지속적으로 그림을 그려 온 작가에게 예술의 공간은 일상 가운데 마주하는 빛의 이미지를 통해 인간의 삶에서부터 우주적인 세계를 성찰하는 사유의 공간이다. 이처럼 삶과 예술의 여정 가운데 강렬하게 흐르는 빛의 생명력을 매일 응시하고 성찰하면서 사유의 빛으로 확장되는 예술 세계를 희망한다.
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