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duct image

진주목걸리를 한 달곰이

2024 장지에 분채,아크릴 6호 갤러리83(본점) ₩ 600,000

갤러리 위치 보기

작가노트

정준미 작가의 "진주목걸리를 한 달곰이" 작품 입니다. [배송 정보] 작품 구매 시, 영업일 기준 2~3일 이내에 본사에서 직접 배송해 드리며, 도서 산간 지역인 경우, 기간이 조금 더 소요될 수 있습니다. [반품 안내] 배송 완료 후 7일 이내, 작품에 손상이 없는 경우에 한하여 반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단순 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작품 구입가 외 추가 발생 비용(배송 비용, 설치 비용 등)은 고객이 부담합니다. 배송 완료 후 7일 이상 경과되거나 고객의 사유로 작품이 훼손되어 복구가 불가한 경우, 반품이 제한됩니다.
Author

정준미

정준미 Jeong Jun Mi 덕성여대 한국화과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동양화과 졸업 개인전 2023 개인전 – gallery ON 2022 개인전, 리앤케이, 퍼블릭 갤러리 2022 개인전 , 생활지음갤러리 2021 개인전, 더라이브러리 이매점, 퍼블릭갤러리 개인전 –gallery ON 2017 코아프전 –윌리힐리파크(부스전) 2016 저작거리전 –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부스전) 남송국제아트쇼- 성남아트센터(부스전) 오렌지아트페어, 코아프전 – 춘천 장난감 박물관(부스전) 2015 마니프전-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부스전) 공평갤러리 – 12지상전 (부스전) 2014 더케이 갤러리 2012 이레갤러리 2011 문갤러리- 중국, 북경 크로스베이 갤러리- 호주,시드니 2010 율갤러리- 향을 입다전 신한아트홀 초대전 2008 인사아트센터- 향을 입다 전 2007 갤러리 라메르 단체전 2024 2024 Art Formosa in Taipei-대만, 에슬라이트 호텔 May: I love you (아트버디 갤러리) 플리옥션 re 아트페어(갤러리 서촌) 뱅크아트페어( 세텍) 2023 나눔자선바자회(갤러리 세인 x 갤러리 보나) 진명전(인사아트센터) 진명소품전(더웨이갤러리) 2019 ADM갤러리 –동네아트페스티벌 2016 진화하는 뿌리전 (갤러리 포월스) 한국화페스티벌- 대구문화예술회관 남송의 봄전- 갤러리 순 2015 자화상전- 서신갤러리 후소회 초대작가전- 갤러리 라메르 2014 한중현대회화 교류전- 북경, 베이항 미술관 제 4회 대만 수묵비엔날레- 대만 2013 굿모닝 아트 컬렉션전- 한전아트센터 2011 인맥전 – 이레 갤러리 Grow out- 더 케이 갤러리 인사아트포럼전 - 세종문화회관 * 제 4회 경향미술대전 대상 수상 작가노트 동글동글 귀여운 얼굴, 폭신폭신하고 부드러운 털, 선한 눈망울의 사랑스럽고 귀여운 모습의 테디베어는 존재만으로 나에게 웃음을 준다. 나에게는 귀여운 아기가 되기도 하고 엄마같은 포근함도 주고 또 친구같은 존재가 되어주기도 하는 소중한 존재들이다, 귀엽고 작고 연약한 모습이지만 내가 힘들고 지치고 외로울 때 그 작고 귀여운 동그란 손으로 토닥토닥 나를 위로해준다. 외로울 땐 친구가 되어주고 나에게 말을 걸어준다. 내가 아주 작은 아기였을 때부터 어른이 된 지금까지도 한결같이 옆에서 친구가 되어준 테디 베어는 또한 나의 자화상이기도 하다. 나는 캔버스 속에 사랑스러운 테디베어와 바니들을 통해서 내면의 나의 모습을 투영시킨다. 가끔은 외롭게 보이기도 하고 가끔은 토라져 있고 슬플 때도 즐거울 때도 있다, 캔버스 속에 테디베어와 바니들은 나의 삶 속의 모습들이기도 하다. 삶은 기쁨 뒤에는 슬픔이 있고 고통 뒤에는 행복이 오고 이러한 과정의 반복 속에서 살아간 다. 고통이 왔을 때 이 또한 지나가면 행복이 있다는 걸 살아가면서 경험 속에서 깨닫는다. 삶은 멀리서 보면 희극이지만 가까이서 보면 비극인것처럼 사랑스럽고 예쁘고 귀여운 모습의 인형들이지만 그들에게서 희,노,애,락과 같은 감정을 표현하고 싶었다. 인형들을 그리는 작업은 나에게 치유와 행복의 감정을 가져다 준다. 그들을 하나하나 섬세한 선으로 쌓아올려 완성해가는 과정은 그들에게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 는 작업이다. 무생물의 인형을 살아있는 자연의 생명력을 가진 존재로 캔버스 위에 담고 싶다. 자연의 강한 생명력을 가진 야생화와 들풀의 이미지를 선으로 계속 쌓아 겹쳐 올리면서 대상 을 형상화시킴으로 무생물의 인형들에게 자연의 무한한 에너지와 생명력을 담아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