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83작가

Artist

Artist image

차주희

차주희 / @cha.juhui 홍대 미술대학원 회화 전공 2024 제25회 사임당 미술대전(입선)/강릉아트센터 2024 32회 대한민국 기독교미술대전(입선)/성남아트센터 2024 여름 샐러드/한전아트센터 2024 만나교회 초대전/스페이스M갤러리 2024 나우리아트센터 기획 초대전/영풍문고종로점 2024 없지만 있는책/ 가고시포갤러리 2023 제13회 아트나눔전/ AN갤러리 2023 국군수도병원 초대전/수도갤러리 2023 우리들의 블루스/갤러리미루 2023 제 19회 Art Wawooism/ 인사아트프라자 2022 호서갤러리(홍대동문전) 2022 이중생활/ 갤러리 유진 목공소 2021 기억의 공유전/ 리수 갤러리 2019 제 34회 모란 현대미술대전 입선(서양화)/성남아트센터 2019 제 12회 인물 전시회 / 갤러리 AN 2019 제 6회 더불어전 /성남 아트센터 2018 제 8회 아트 나눔전 /갤러리 AN 2017 포도 미술제/ 안양 아트센터 작가노트- 다양한 경험은 과거와 현재, 미래라는 시간의 범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재는 곧 과거가 되며 기억을 끌어오면 그 것은 현재시가 된다. 작가는 현대를 살아가며 내면의 공허함을 갖게 될 때, 따뜻했던 긍정적인 기억에 집중하고 과거의 기억을 재구성하는 창조적 활동을 한다. 지속되는 시간 속에 일화들은 현재에도 이어지고 있으며, 긍정적 기억의 회상이 삶에서 지각되는 순간 과거의 자신과 마주한다.

#기억 #현대시
Artist image

박윤미

*SOLO EXHIBITIONS 2024. 8~11 ‘나의 나무‘ –퍼블릭갤러리 동탄 2024. 7 ‘찬란한 나무‘ –양주시청 오픈갤러리 3층 양주 2024. 5~8 ‘자아의 심연‘ –퍼블릭 갤러리 서울 2024. 2~5 ‘My dream, my tree‘ –퍼블릭 갤러리 서울 2023. 10 ‘행운을 부른다’ –마롱 갤러리 1,2층 전관 서울 *GROUP EXHIBITIONS 2024. 8 제1회 프로젝트 너.이.들 단체전-인테그랄갤러리 서울 2024. 8 여름선물28전- 비움갤러리 서울 2024. 7 CAAS 3- 이스트 아뜰리에 갤러리 서울 2024. 6 100인10호100작품전- 비움갤러리&갤러리아람 서울 2024. 6 thehecheomoyeo 6 국제그룹전- KOTE 노브 갤러리 서울 2024. 4 thehecheomoyeo 5 국제그룹전- Bangkok 2024. 2 thehecheomoyeo 4 국제그룹전- 이스트아뜰리에 갤러리 서울 2024. 2 현대회화 100인 기획전- 5부 초대그룹전-공간:숨 갤러리 수원 2024. 1 현대회화 100인 기획전- 3부 초대그룹전-공간:숨 갤러리 수원 2023. 12 현대회화 100인 기획전- 2부 초대그룹전-공간:숨 갤러리 수원 2023. 12 thehecheomoyeo 3 국제그룹전- 이스트 아뜰리에 갤러리 서울 2023. 9 ‘VIVIDNESS’ 8인 단체전 – 마루아트센터 5관 인사동 서울 2023. 8 아트오일장 – 갤러리아미디 한남 2023. 8 중앙회화대전 – 한국미술관 인사동 서울 2023. 8 ‘숲의 노래:마음을 담아내어‘- 갤러리아미디 서울 2023. 7 제9회 끌림전 – 동대문 구청 아트갤러리 서울 2023. 7 제44회 대한민국창작미술대전 – 홍익대학교 대학로 아트갤러리 서울 2023. 7 Leffica ‘Orbit’ – 아트스페이스 이색 서울 2023. 4 제11회 한국창작문화예술대전 – 동대문구청 아트갤러리 서울 2023. 3 제3회 RAF : “The Pursuit of Happyness”- 꼴라보하우스 문래 서울 2013. 2 New-millennium Exhibition - gallery galaxy 중국 2012.12 T.I.M.E - 이앙갤러리 서울 *ART FAIR 2024. 9 아트레코드 청주-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 옆 문화제조창 청주 2024. 8 제주 아트페스타-제주 국제 컨벤션센터 제주 2024. 8 뱅크아트페어 – 세텍 서울 2024. 6 아트페스타 – 세텍 서울 2024. 5 서울아트페어 – 세텍 서울 2024. 2 WAE 월드아트엑스포 – 코엑스 서울 2024. 1 GIAF 더그랜드 아트페어 – 신라호텔 장충동 서울 2023. 12 MIAF 명동국제아트페스티벌 K-ART SHOW SEOUL – 롯데호텔 본점 서울 2023. 11 국제블루아트페어 – 파라다이스호텔 부산 2023. 11 핑크아트페어 – 신라호텔 장충동 서울 2023. 5 대한민국 미술박람회 – KINTEX 일산 *AWARD 제2회 한국여성작가 회화공모전 ‘입선’ 수상 제3회 중앙회화대전 ‘입선’ 수상 제44회 대한민국창작미술대전 ‘은상’ 수상 제11회 한국창작문화예술대전 ‘금상’ 수상 *언론 노출 노력하고 인내하는 사람들에게 행운을, 박윤미 작가 첫 개인전 《행운을 부른다》 < 문화 < 기사본문 - K스피릿 (ikoreanspirit.com) 우리가 놓치고 사는 작은 소리, 갤아월 단체전 《숲의 노래 : 마음을 담아내어》 < 문화 < 기사본문 - K스피릿 (ikoreanspirit.com) 레피카, 신진 작가 단체 전시 'ORBIT’ 개최 < 예술 < 문화 < 기사본문 - 뉴스브라이트 (newsbrite.net) 신진 작가들의 삶의 궤도를 담은 단체 전시 《ORBIT》전 < 문화 < 기사본문 - K스피릿 (ikoreanspirit.com) *그 외 활동 2024. 9~11 경기도 찾아가는 미술관 초등학교 전시 2024. 3 플리옥션 -2작품 낙찰 2023. 8 플리옥션 – 5작품 낙찰 *온라인 퍼블릭갤러리 사이트 등록 사치갤러리 사이트 등록 에코락갤러리 사이트 등록 굴곡을 포함한 삶의 여정, 나의 나무 박윤미 작가의 나무는 모든 순간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삶에 대한 표상이다. 현실과 분리된 작품 속 나무를 통해 삶의 주체에 대해 사유하게 한다. 울창한 나무의 생명력이 가득한 모습을 통해 불완전한 경험을 이어가는 현대인들에게 삶의 관찰,고찰,통찰,성찰을 환기하게 한다. 현실로 인해 외부의 형상만을 쫒는 것이 익숙한 현대인들이 스스로 자신만의 원천을 찾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나무로 표현한다. 작가가 지향하는 예술이란 삶을 영위하는 것 그 자체이다. 나무를 통해 우리가 겪는 모든 것들이 예술이 될 수 있으며 삶을 주체적으로 경험하고 의미를 부여하며 생동감 있는 하루를 살아갈 수 있는 것, 삶 자체를 예술로써 표현하고 있다. 작가는 구상적인 나무의 표상에 삶의 굴곡을 추상적으로 담아내며 관람자들에게 성찰의 기회를 부여하는 동시에 고난과 시련에도 자신만의 온전한 나무를 키우기를 응원하는 마음을 담아낸다. 이로써 “나의 나무” 는 현대인들이 스스로 잊고 있던 삶의 방향을 깊이 있게 관철하고 상기시키게 해주며 이때 달은 삶의 가치를 환기시키는 매개체의 역할을 가진다. 삶의 순환 속 모든 순간 온전한 자신만의 찬란한 나무가 그리는 삶의 여정을 응원한다.

#나의 나무 #삶의 나무
Artist image

이장옥

학력 2018 서울 문화예술대학 실용 미술학과 졸업 수상경력 2018 한중 아트 페스타 금상 2015 한국미협 이사장 최우수상 2015 현대미술회화 대상전 우수상 2012 만안 서화대전 특선 외 다수 수상 소장처 ㈜세지건설,익산 제일건설.금나라건설,㈜대평건업, 일산암센터, 빚진자들의 집, 인천일보 경기지사 외 개 달력 2020년 삼성화재 달력 선정 전시경력 개인전 23회 2022 이장옥의 스마일 전 아트필드갤러리 2022 꽃 밥 展 (강남 퍼블릭갤러리/ 레꼴레르 크리스탈 강남점) 2022 꽃 밥 展 (강남 퍼블릭갤러리/ 셀트리온 홍대점) 2021 꽃 밥 展 (강남 퍼블릭갤러리/ GS 안과) 2020 꽃 밥 展 (인사동 31갤러리) 2020 동자승 展 (아트리에 판교점) 2019 스마일 展 (인사동 루벤갤러리) 단체전 및 기획전 2024 갤러리 T 롯데 김포점 2024 갤러리 T 롯데 평촌점 2024 갤러리 T 롯데 동탄점 2023 아트 사월 3인 초대전 2022 갤러리 안단테 2인 정기전 2022 아트 사월 마음속 상상 전 2022 아트 사월 개관 기획전 (광명시) 2022 행복한 동행전 (문래동 아트필드갤러리) 2021 행복한 동행전 (창원 상상갤러리) 2020 미미사전 (인사동 경인미술관) 2019 선물전 (인사동 갤러리 M) 2019 선물전 (인사동 31갤러리) 외 60여회 작가노트 밤이 되자 달님은 서서히 온 하늘을 푸름으로 가득 채운다. 어둠 속에서 길을 헤매는 별들을 안내하듯 달님은 더욱 푸르게, 푸르게 짙음을 내뱉는다. 그런 달님을 향해, 감히 두 손 모아 빌고 또 빌어본다. 어리석은 나 역시 안내해 줄 수 있는지를. 달님의 푸름을 간직해도 되는지를. 가슴이 먹먹해지도록 그렇게 한참을 빌어본다. 눈물이 뚝. 달님이 대답을 해주었다. 나는 이미 푸름을 간직하고 있다고. 김이 모락모락 나는 흰 쌀밥에 묵 한 그릇. 가난한 엄마가 자식에게 줄 수 있는 최고의 밥상. 어머니께 받은 그 사랑이 바로 너의 푸름이라고, 이미 너의 속에 있다고 말해주었다. 달님의 가르침을 담은 꽃잎 하나. 어머니의 사랑을 담은 꽃잎 하나. 올망졸망 모여 있는 동생들과 아버지, 어머니와 함께 히죽 웃는 날들을 그리며 나의 푸름을 꽃밥에 담았다. 밥그릇은 먹을 묻힌 세필로 점을 찍고 날리듯이 표현하여 화강암처럼 보이게 하였다. 달을 닮은 모습을 생각하다 화강암이 마치 달의 표면 같아 이 기법을 사용하게 되었다. 넓둥근 밥그릇 안에는 아크릴로 밥알 크기의 꽃잎을 그려 고봉밥을 완성한다. 꽃밥을 그리다보면 어느새 나는 무아지경에 빠져든다. 나도 모르게 슬며시 미소를 지으며 마지막 붓질을 한다. 나의 소망이, 희망이 깃들기를 바라며 보시기에 참 좋았다 라고 느꼈으면 한다.

#달항아리 꽃 정물
Artist image

전설박사

경력 및 학력: 서울대법대 박사(수) 고려대 영어교육학박사 영국에식스대학교 언어학 석박사 홍익대 디자인공예 색채전공 박사과정 서울대학교 법대 및 연세대학교 영어교육학 석사 등 홍익대 미대 대학원 회화전공 전) MBC TV 특강, EBS, SBS, 직업방송 진행. 외대교육대학원 교수 외대부고(구-용인외고) 창립멤버 및 학과장 역임. 에식스대학교, 고려대학교, 성신여대 교육대학원 등 강사 역임. 현) 명품플랫폼 엘링크 부회장 아트코리아방송 기자 및 영국지회장. STN 기자 및 아나운서 매일경제 칼럼니스트, 미술평론가, 인스타(sur_jeon) 인플루엔서 활동 및 방송활동 MBN 헬로아트, 뉴스와이드, 프레스룸, 레전드갤러리대표 MBN동치미속풀이쇼 및 알토란, tvn 등 수상 2024 뉴욕주의원상(상원의원) UN 평화대상 수상 STN 청춘반란대학가요제 문화예술대상 아트코리아 문화예술대상 IWS 방송대상 문화예술 대상 문학고을 최우수작가상 PCAF 공모전 수상 아트코리아미술대전 수상 제33회 한국파스텔화작품공모대전 수상 서울월드 미술대전 제4회 청송야송미술대전 한국창작미술대전 중앙회화대전 무궁화미술대전 전남미술대전 대한민국 신지식인 대상 문화예술 부문 수상 올해의 베스트 인물대상 문화예술 서양화부문 수상 문학고을 문학상 수상 한국창작문화예술대전 및 국제현대미술대전수상 문학광장 문학상 한국문학예술 문학상 세계문학예술 문학상 오피니언 리더 대상 명강사 부문 대한민국 비전 탑 브랜드 대상 학습코치, 강연전문가 부문 고객만족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대상 혁신리더, 교육 부문 대한민국 중소 중견기업 혁신대상 동반성장위원회 위원장상 전국중고생자원봉사대회 감사장 대한민국 학생창의력올림피아드 도전과제C-SL 금상 (AIM팀) 한국학교발명협회 표창 성균관대학교 지도교사상 영어고등부문 EBS 감사패 대한민국 학생 영어말하기 대회 교육 공로상 25권 넘는 도서 저술 활동 및 14회 개인전 및 200여 회 넘는 아트페어, 단체전 등 전시회 마이에미아트페어 아트디렉터 전시회 안단테초대작가전 전시회 대웅제약 갤러리 아트토큰 초대작가전 전시회 신라호텔 및 메리어트호텔 아트페어 아트디렉터 전시회 프랑스루브르박물관 초대전 전시회 뉴욕초대작가전 전시회 싱가폴 아트위크 전시회 타이페이 하야트호텔 아트페어 전시회 서울아트쇼 전시회 LA 아트쇼 전시회 마이에미 팜비치 아트페어 전시회 아트코리아 글로벌아트페어 초대작가전 전시회 PLAS JW 메리어트호텔 초대작가전 전시회 마이애미 Scope & Aqua 아트페어 전시회 서진아트스페이스 공모전 개인전 전시회 인천아시아 아트쇼 전시회 울산아트페어 전시회K Art 쇼 뉴욕전시관 초대작가 전시회 카르티즘 아트 페스티벌 전시회 프랑스 루브르박물관 파리아트쇼핑 전시회 NewYork Affordable Artfair 전시회 개인전 (경인미술관) 전시회개인전 (인사아트프라자갤러리) 전시회 아트광주23 전시회 개인전 (라메르갤러리) 전시회 프랑스모나코국제아트페어 전시회 대구국제블루아트페어 및 대구아트페어 전시회 Figures2023 (CICA 미술관) 전시회 개인전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전시회 개인전 마음을 녹이는 말 (아이테르갤러리) 전시회 Seattle Art Fair 전시회 GIAF 국제아트페어 (신라호텔) 전시회 아이테르 갤러리 선정작가 전시회개인전 전박사의 다섯번째 공감이야기 - 여전히 꿈 꾸는가? (더플럭스 갤러리) 전시회 너트프라이즈선정작가 개인전 전시회 갤러리제이와이 선정작가 개인전 전시회 갤러리A 선정작가 개인전 전시회 한집 한 그림 전 전시회 동행전 (영아트갤러리) 전시회 안산국제아트페어 전시회 홍콩 Affordable Art Fair 전시회2023 동행 (갤러리 제이와이) 도서 문학광장 3/4월 99호 도서 문학고을 2023년 봄 vol.8 도서 문학광장 1/2월 98호 도서 세계문학예술 겨울호 도서 문학고을선집 제10집 도서 문학광장 7/8월 101호 MC공연 2030 부산엑스포유치 한글패션쇼 MC공연 금천국제패션영화제 MC 한글 패션쇼 공연 2024 S/S Paris Collection in ANYANG FASHION SHOW 공연 청년멘토 세미나 아트씽킹 : 전설박사 공연 신해철거리 추모공연 방송 전원주 한강 사랑의 효도가요 방송 한국직업방송 강의쇼 청산유수 제456, 457회 방송 SBS Biz 성공의 정석, 꾼 방송 EBSe 최고의 영어수업 방송 동치미속풀이쇼 등 방송 MBC TV특강 제627회 방송 EBSe 특목고 강의! 방송 MBN 헬로아트 기타 콘티테크플루이드코리아 조직 밸런스 강연 기타 법무연수원 강연 기타 CICA 국제학술 Conference - presenter (AI Copyright) 이름: 전설(全說) 박사 연락처: 010 8705 7169 메일: jeonbu@snu.ac.kr 인스타: sur_jeon 작가노트 공상과학 영화에서 어김없이 등장하는 소재 중 하나가 바로 distopia이다. 가까운 장래에는 인공지능이 지배하는 세상이 도래하고 그렇게 되면 인간이 설 자리는 없어진다는 그러면서 생명과학에 대한 윤리가 파괴되면서 인간복제까지 가능하다는 다소 과장된 스토리이지만 그러한 작품들이 공통적으로 전하는 메시지는 올바른 가치관과 윤리를 토대로 인간다운 삶을 강조하곤 한다. The Brave New World에 등장하는 세상과 The Giver에 등장하는 기억전달자를 통해 보여주고자 하는 공통된 메시지는 마이클 센델이 강조하는 공동선을 추구하기 위한 참된 인간 삶의 자세일 것이다. 서로를 배려하고 아끼면서 조금은 타인을 위해 아량을 베풀라는 의미인데, 어쩌다보니 우리네 삶이 자신의 몸 하나마저도 건사하기 힘들 정도로 각박해진 것이 현재 21세기 우리네 삶일지도 모른다. 그렇기에 하루하루가 더 힘들고 고통스럽게 느껴지고 그러다보니 사이비종교가 활보하고 거짓된 믿음과 종파가 사람들의 나약한 마음을 파고 들어가 마음의 안식을 얻고자 한 피신처가 오히려 삶을 파괴하는 주된 원인이 되고 있음에 통탄을 금할 길 없다. 그런 측면에서 한 점의 작품이 주는 삶의 힐링과 위안은 가히 그 어느 것에 견주어도 손색이 없을 정도의 힐링 그 자체라고 생각한다. 작가가 추구하고자 하는 작품의 세계는 Love & Bless & Fortune이다. 사랑과 축복, 행운, 행복이 가득한 삶을 동경하기에 그러한 좋은 기운이 집안이든 사업체든 인간관계든 두루두루 가득하길 간절히 바란다. 잠시 지나간 작가의 삶을 돌이켜보면 어쩌면 이러한 기나긴 인생의 여정이 오롯이 작가의 마음의 안식과 평안을 찾기 위해 힘겨운 과정을 스스로 선택한지도 모른다. "The road not taken" Frost 시인의 말처럼 어쩌면 스스로 걷고 달리는 그 길이 과연 작가가 가야할 올바른 길인지에 대한 끊임없는 자책과 질문의 시간에서 늘 고심해야 했다. 돌이켜보면 그러한 순간순간의 시간의 점들이 결국에는 종착지인 지금의 모습을 만드는 밑거름이 되었다고 생각하지만, 평생을 학문이라는 매개체와 끊임없는 소통을 하며 앞을 달려가고자 한 삶에 대해 쉽지 않은 삶이었으면 이제야 고백해본다. 그리고 그러한 점들이 메를리퐁티의 현상학과 데리다의 해체학에 입각하여 뷰어에 따라 행여 달라질수는 있지만 작가가 추구하는 숭고한 목표인 사랑과 축복에 이른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러한 목표점에 도달하기 위해 난 오늘도 끊임없이 달린다.

#전설박사
Artist image

김수연

▪ 작가 프로필 ▪학력 - 상명대학교 미술학과 서양화 전공 졸업 - 경기대예술대학원 미술학과 서양화 전공 졸업 ▪초대개인전 - 2023. 9. <부재의 시각화>– 초대개인전, (갤러리 라포애 전관, 수원) - 2023. 7. <부재의 시각화>– 용인문화재단 공모지원선정 김수연개인전, (용인문화원전시실 전관, 용인)/ 후원 : 용인특례시, 용인문화재단 - 2021.11. 연대기적 거북-순수한 여정 (갤러리 라포애) - 2021.10. 제22회단원미술제 선정작가후속지원사업, 김수연 개인전 <연대기적 거북-순수한 여정> (김홍도미술관 제2관, 안산) / 주최 : 안산시 / 주관 : 안산문화재단 - 2020.10. <연대기적 거북-시간의 흔적, 부재의 시각화> (갤러리 라포애 초대개인전) ▪수상 - 단원미술제 미술대상(2019) - 나혜석미술대전 특별상 및 특선(2018, 2019) - 경기미술대전 특선 이외에 공모전 다수 입상 ▪ 기획 초대전 - 2024.11.7.목~ 11.11.월. "감염이론" 기획전, Gallery The ARTE 청담, 서울 - 2024.10.22.화~10.29.화. “용인르네상스“전, 용인문화예술원 및 시청광장, 용인 - 2024.10.8.화..~10.13.일. 2024 “몽골리안 루트” 전, 수원시립만석전시관 1관, 수원 - 2024.10.4.금.~10.16.수. “목포는 항구다전”, 목포문화예술회관 전시장, 목포 - 2024. 몽골 초대-”몽골리안 루트전”, 올란바타르 국립미술관, 몽골 - 2024. 연홍전, 갤러리 라포애, 수원 - 2024. “언어&색”, 용인문화예술원, 용인 - 2024. “프로방스 언덕의 화가 Part2”, 갤러리 사이, 서울 - 2024. 1. 몽골리안 루트전, 갤러리 라포애, 수원 - 2023.12. “잇템” - 겔러리 내맘대로 12월 기획선물전. 갤러리 내맘대로, 수원 - 2023.11. GIAF 광화문국제아트페스티벌 초대작가전. 세종센터미술관 ,서울 - 2023.11. 2023문화도시-용인르네상스., 갤러리 필랩, 용인 - 2023.9. 아트버디 동물작가 프로젝트 기획전. 아트버디(홍대점), 서울 - 2023. 7. LATTICE 2023 “fairytale展” 더갤러리(안산점), 안산 - 2023. 6. 일곱 동행전, 홍성문화원, 홍성 - 2022.11. 무형의 형태:2022아트경기 선정 작가전, 롯데갤러리 동탄, 화성 - 2022.10. 제4회 항일의 혼을 깨우다展, 용인 문화예술원 대전시실, 용인 - 2021. 7. 마법 미술관 (창영문화예술회관, 창영) - 2020. 6. 단원미술제 선정작가 수상자전 <Since2015-2019>, (단원미술관, 안산) - 2020. 6. 여름 나들이전, (수원역 환승센터 갤러리, 수원) - 2019.12. 씨티플레이어 “찾아가는 미술관”, (수원문화재단,수원) - 2018.10. 珠海.水原 美術交流展, 주해미술관, (중국 주해시) 등 30여회 ▪그룹/단체전 2024.4. 연홍전, 갤러리 라포애, 수원 2024.1. <新年展>경기수채화협회, 노송갤러리, 수원 2023 11. 모던조형전, 수원미술만석전시관 1관,수원 2023.8.. 신작전. 라메르 1,2,3층 전관, 서울 2023.8. 경기수채화협회전. 수원만석전시관 전관, 수원 2023.5. 연홍전, 갤러리 라포애, 수원 2023.4. 용인미협전, 용인문예회관, 용인 2023.1. 2023新年展-경기수채화협회, 팔달구청 전시장, 수원 2022.12. 미술장터-아트팩토리, 파주 2022.11. 모던조형전,만석미술전시관 2관, 수원 2022.9. 아트경기 미술장터, 아트조선스페이스, 서울 2022.6. 창해의 섬 – 신작전, 함양용추벨리, 함양 2022. 6. 신작전, 인사아트프라자, 서울 2022.6. 경기수채화협회 30주년 기념전, 광교아트스페이스, 수원 2022.6. 용인미협전, 용인문화예술원 대전시실, 용인 2022.5. 연홍전, 라포애, 수원 2022.2. <창해(滄海)의 섬-독도>전, 갤러리 라포애, 수원 2021.11. 모던조형전, 수원미술전시관, 수원 2021.10. 제29회 경기수채화협회 정기전, 수원미술전시관, 수원 2021.6. 신작전-오늘의 구상미술, 인사아트프라자, 서울 2021.5. 연홍전-연홍, 열 세 번째의 동행, 갤러리 라포애, 수원 2020.12. 라포애와 어반스케치, 누드드로잉전, 갤러리 라포애, 수원 2020.11. <Remember 20, 牛步千里 21>전, 갤러리 라포애, 수원 2020.10. 제5회 모던조형전, 갤러리 라포애, 수원 2020.9. 산.수.화(오산,수원,화성)프로젝트, 수원미술전시관, 수원 2020.7. 신작전-구상미술의 미래를 생각하다, 인사아트프라자, 서울 2020.6. 연홍-그 숲에 살다 전, 갤러리 라.포.애, 수원 2019.12. 오늘의수원전, 광교컨벤션센터, 수원 2019.12. 국제교류전, 수원미술전시관, 수원 2019.11. 靑淸展-블루옴니버스, 수원미술전시관, 수원 2019.10. 2019단원미술제 선정작가전 <단원에서 270년, 미래를- 잇다>, 김홍도미술관, 안산 - 이 외 100회 이상 작가 소개 김수연은 2019년 “연대기적 거북”시리즈를 발표하면서 단원미술제 대상을 수상하며 미술계에 주목을 받기 시작했고, 2020년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심사를 통해 작품이 매입되면서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이 후 “연대기적 거북-순수한 여정” 시리즈와 “연대기적 거북-부재의 시각화” 시리즈로 작품을 확장하며 활동하고 있다. “연대기적 거북-순수한 여정”에서는 바다(또다른 세계)를 마주하는 거북을 만나볼 수 있다. 바다를 마주하는 거북이 미지의 세계에 대한 만감이 교차하는 여러 가지 복잡한 내면을 표현하고 싶었던 작품이다. 작품에 등장하는 바큇자국과 거북은 작가의 시그니처와 같은것으로 시간이라는 부재를 시각화하는 상징이며 매개체가 되기도 한다. 2022년까지 캔버스위에 오직 유화로만 표현했던 작업의 재료가 2023년부터는 캔버스에 모래와 유리가루등을 직접 붙인 후 유화로 그림을 그리는 방식으로 변화했다. 오일페인팅으로만 작업을 했을 때, 물감의 번짐이 마치 모래를 연상했던것에 비해 실제 모래를 붙여서 작업한 근작이 모래가 아닌 눈밭이나 파도와 같이 다른 공간으로 느껴지는 부분도 주목해 볼 만 하다. 주요 전시로 <부재의 시각화>(용인문화예술원,2023), <연대개적 거북-순수한 여정>(단원미술관,2021)과 <LATTICE “fairytale展”> 더갤러리, <무형의 형태>전 (롯데갤러리,2022), <마법미술관> (창녕문화예술회관 2021)등이 있으며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단원미술관 등 다수 기관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거북이
Artist image

전은순

경력사항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회화과 미술학 석사(MFA) 졸업 * 예원예술대학교 미술 디자인 학부 서양화 졸업 개인전 * 2024. 05 제25회 갤러리 시소 초대 개인전 (구리시, 갤러리 시소) * 2024. 02 제24회 미호박물관 초대 개인전 (남양주시, 미호 박물관) * 2023. 01 제23회 특별기획전 (한국미술진흥원 WWW.kapatv.net) * 2022. 07 제22회 메타버스 개인전 (한국미술진흥원 2관) * 2022 07 제21회 메타버스 개인전 (앤시디미술관) * 2022. 07 제20회 메타버스 개인전 (갤럭시 미술관) * 2022. 06 제19회 메타버스 개인전 (국가예술방송 갤러리) * 2022. 06 제18회 메타버스 개인전 (해외교류작가회) * 2022. 06 제17회 메타버스 개인전 (후암아트센터) * 2022. 06 제16회 메타버스 개인전 (한국미술역사관) * 2022. 02 제15회 개인전 2022 이탈리아 아트페스타벌 전 (이탈리아, 안토니오 바탈리아 갤러리) * 2021. 11 제14회 서울갤러리 초대 개인전 (서울, 서울 신문사 프렌스센타) * 2020. 06 제13회 남송미술관 개인전 (가평, 남송미술관) * 2021. 05 제12회 개인전 (서울, 인사동, 3.1 갤러리) * 2020. 12 제11회 특별기획 개인전 (한국미술진흥원) * 2020. 06 제10회 개인전 (서울, 서경 갤러리) * 2019. 05 제9회 초대 개인전 (서울, 광진 문화원 갤러리) * 2018. 04 제8회 석사청구 개인전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 2017. 06 제7회 개인전 (서울, 한가람 아트 갤러리) * 2016, 10 제6회 개인전 (미국 뉴욕, 에이블 화인아트 NY 갤러리) * 2016. 06 제5회 초대 개인전 (서울, 에이블 화인아트 NY 갤러리) * 2016. 02 제4회 초대 개인전 (서울, J 갤러리) * 2013. 10 제3회 개인전 (경기, 숨 갤러리) * 2011. 03 제2회 개인전 (서울, 인사아트프라자 이형아트센터) * 2007. 09 제1회 개인전 (서울, 예술의전당 한가람 미술관) 아트페어 & 부스전 * 2024. 05 2024 서울아트페어 (서울, 세텍) * 2023. 11 2024 인천 아시아아트페어 (인천 송도 컨벤시아) * 2023. 07 2023 서울아트페어 부스전 (세텍) * * 2022. 07 KPAM 대한민국미술제 부스전 (인사동 마루아트센터 특별1관) * * 2021. 04 제10회 부산 BAMA 국제화랑 아트페어 (부산 벡스코) * 2020. 06 제9회 부산국제화랑 아트페어 (부산 벡스코) * 2019. 12 2019 서울 아트 쇼 부스전 (서울, 코엑스) * 2019. 10 2019 한국구상대제전, 부스 전, (서울,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 * * 2019. 06 제1회 살롱 앙데팡당 한국 2019 부스 전, (서울, 갤러리 K) * * 2018. 06 아이 아트 페어 부스 전 (중국, 반도 미술관) * * 2018. 01 브루나이 왕국 아트 페어 부스 전, (브루나이, 엠파이어 호텔) * * 2017. 04 싱가폴 아트 페어 전 (싱가폴, F1 Pit 빌딩) * 2016. 12 서울 아트 쇼 2016 아트 페어 부스 전, (서울, 코엑스) * * 2016. 11 프랑스 ST 아트 페어 전 ( 프랑스, 스트라스브르그) * 2016. 10 독일 퀼른 아트 페어 전 ( 독일, 퀼른) * 2016. 06 미국 햄튼 아트 페어 전 (미국, 햄튼) * 2016. 05 홍콩 아트 페어 전 (홍콩, 컨벤션 센터) * 2016. 02 핑크 아트 페어 전 (서울, 메리어트 호텔) * 2015. 11 대구 아트 페어 (대구, Exco) * 2015. 09 제1회 서울 AAF Seoul 2015 아트 페어 부스 전 (서울, 동대문 DDP) * * 2014. 09 제14회 국제 아트 페어 전 (서울, 코엑스) * 2007. 09 2007 KPAM 대한민국 미술제 부스전 (서울,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 * 그룹전 2024. 10 사)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광진지회전 (어린이대공원 팔각당) * 2024. 08 광진미술협회 임원전 아트컨티뉴 포천 직영점 (갤러리 뮤) * 2024. 07 심기일전 한국전업미술가 협회 초대전 (서울 올갤러리) * 2024. 06 광진미술협회 정기전 (서울, 어린이 대공원 팔각당) * 2024. 05 한국미술전 한국전업미술가 협회 정기전 (인사동 갤러리 올) * 2023. 11 우즈베키스탄 여행 전 (인서동 갤러리 올) * 2023. 06. 광진미술협회 정기전 (광진 나루아트센터) * 2023. 06 MOAF 공모 선정전 (아트필드 갤러리) * 2023. 03 광진미술협회 임원전 (인사동, 갤러리 올) * 2023. 02 제11대 (사)한국전업미술가협회 임원전 (인사동, 갤러리 올) * 2022. 08 아트코리아미술대전 (인사아트프라자 3층) * 2022. 04 (사)한국전업미술가협회 기운생동전 (서울, 갤러리 올) * 2021. 01 여성작가 12인초대 전 (강릉, 아우로보로스 미술관) * 2020. 10 제10회 신진작가 선정 전 (성남, 미누현대 미술관) * 2020. 09 제10회 코리아 페스타 전 (서울, 한국미술관) * 2020. 07 제18회 겸재진경 미술대전 (서울, 겸재정선 미술관) * 2020. 07 제27회 한국미술국제대제전 (서울, 용산아트홀 미술관) * 2020. 05 힘내라 대한민국 미술로 하나되다 전 (서울, 한국 미술관) * 2020. 01 한국 현대미술 300인 초대전 (서울, 라메르 갤러리) * 2019. 12 아름다운전시 2019 크리스마스 불우이웃돕기 버드 전 (분당, 지구촌 갤러리) * 2019. 07 콩세유 개관 초대전 (서울, 콩세유 갤러리) * 2018. 06 4개월간 중국 반도 미술관전 (중국 위해시, 반도미술관) * 2017. 10 미국 뉴욕 그룹전 (미국 뉴욕, 에이블 화인 아트 NY 갤러리) * 2016. 08 한. 중 교류 전 (중국, 영성 시립 문화예술관) * 2015. 09 한국미술협회 여성 작가전 (서울, 강남 문화재단) * 2014. 05 제33회 대한민국 미술대전 비구상전 (서울시립 경희궁미술관) * 2014. 07 윤 갤러리 기획 초대전 (서울, 윤 갤러리) * 2013. 09 KSAP ART 초대전 및 참관 (미국, 린 J 갤러리) * 2012. 06 한. 중국 교류전 (중국, 여강성) * 2011. 12 코레아 국제 미술제 (서울, 미술관) * 2007. 08 한. 일 동경 교류전 (일본 동경, 한국미술관) * 2005. 03 목우 회 프랑스 쇼몽 초대전 및 참관 (프랑스, 쇼몽 미술관) * 2003. 08 캐나다 현대미술 초대전 (캐나다, 토론토 갤러리) * 광진 미술협회 정기전 25회, 광진 예술인 초대전 25회, 광나루 시생회 20회, 아시아미술가협회 10회 등 국내. 국외 단체전 270여회. 수상 * 2022. 28 아트코리아 미술대전 특선 수상 ((주) 아트코리아 방송 회장) * 2022. 04 2022 이탈리아 아트페스티벌 최우수작가상 수상 (서울, 한국미술진흥원) * 2021. 12 2021한국미술진흥원 특별기획전 우수작가상 수상 (서울, 한국미술진흥원) * 2020. 06 서울특별시 지방경찰청 감사장 (서울특별시 지방경찰청장) * 2020. 06 제27회 한국미술국제대제전 특선 수상 * 2020. 06 제18회 겸재진경 미술대전 입선 수상 * 2014. 05 제14회 대한민국 미술대전 비구상 부문 입선 수상 * 2010. 12 대한민국 신 미술 대전 초대작가 및 초대작가상 (서울특별시 의회 의장상) * 2007. 08 한국 수채화 미술협회 공모전 입선 수상 * 2001. 11 대한민국미술전람회 특선 수상 외 다수 언론지 및 영상작품 수록 * 2021. 11. 05 서울신문사 기사 (전은순의 자연과의 공존- 숲속의 울림) * 2021. 06 유트브 영상 (남송미술관) * 2020. 11 월간 아티스트 기사 수록 * 2020. 10 아트원 TV- UTB 동영상 (미누현대 미술관) * 2020. 04. 24 동아경제 신문사 기사 (자연의 ‘상생 –공존’을 조형적 언어로 표현) * 2020. 03 월간미술- 미술 인명록 수록 * 2019. 07 전 은순 작품 UTB 숲속의 울림 시리즈 동영상 * 2017. 10 월간 아트원 TV- UTB 동영상 및 수록 * 2017. 07 월간 미술- 7월호 작품 수록 * 2017. 06 전 은순 작품 UTB 상생 시리즈 동영상 * 2016. 06 월간 미술- 6월호 작품 수록 * 2013. 07 대한민국 미술세계명감 수록 (월간미술세계 주체) 소장처 *한국미술진흥원 다수 *스위스 Singul Art 콜렉터 소장 *미국 Singul Art 콜렉터 소장 *서광인쇄 ㈜ 다수 소장 *다움 법률사무소 소장 *(주) 한국콜마화장품 소장 외 다수 소장함 현재) 사)한국미술협회, 한국 신미술대전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 역임, 사)한국전업미술가협회 이사, 광진 미술협회 서양화 분과위원장, 광나루 사생 회, 한국미술진흥원 회원. 작가노트 2 숲 속의 울림 (An echo in the woods) 서울 작업실에서 시골 작업실로 옮긴 후 나는 온갖 새소리, 곤충, 동물 소리를 들으며 아침을 맞이한다. 간혹 뒷산에서 고라니나 토끼 움직임을 볼 때 나는 오지에 온 느낌이 들어 설렌다. 자연의 산물인 나무 숲을 보기만 하여도 힐링(Healing)되고 행복해지는 순간이다. 자연은 인간과는 없어서는 안 되는 밀접한 관계이다. 숲속을 거닐다 보면 부서지는 햇살에 싱싱한 나무의 향기는 본인의 매 마른 가슴을 채워주고, 크게 작게 들리는 새소리는 그들의 대화를 알아내려는 듯 두 귀를 쫑긋 귀 기울여 들어 준다. 그리고 쇠퇴하여 자연스럽게 벗겨진 수 피(나무 껍질)는 뇌를 자극 시켜 생각을 일깨워 준다. 나무를 세밀하게 들여다보면 생김새가 신기하고 오묘하기도 하지만, 오랜 세월 풍파에 시달려 삶의 외침을 읽을 수 있다. 본인은 푸른 나무와 소멸하는 수 피에 생명력을 불어넣어 화폭에서 다시 태어나는 부활의 신비함과 환상을 담아 보고자 한다. 음악이던, 글을 쓰던, 그림을 그리던, 창작을 꿈꾼다면 자연과 가까이하고 친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지난 작품은 자연과의 공존이라는 테마(Thema)로 고구마 꽃과 거미를 소재로 상생의 스토리로 표현했으며, 이번 작품도 자연과의 공존 테마 연작으로 숲 속에서 전해오는 숲 속의 울림, 메아리를 시리즈로 담아 보려 한다. 숲속의 공간에 새와 곤충 그리고 동물들과 교감하고 작가는 평화와 힐링의 공간을 만들어 간다. 특히 부와 지혜의 상징 수리부엉이와 명예와 권력의 상징인 사슴, 장수의 상징인 거북이를 주로 소재로 표현하고 있다. 나무와 수 피를 통하여 자연의 본질과 작가의 감정을 결합하여 구상과 추상 사이 작품으로 기운 생동이라는 명제를 염두해 두고 작업을 한다. 본인은 자연을 여러 표현 방식을 통하여 지각적 혹은 상상력으로 재 창조되어 주관에 의하여 미의 가치를 표현하고 가시화 시키고있다. 실체를 그대로 그리기보다 작가의 감정을 이입하여, 사물을 생략하는 단순화한 기하학적인 표현과 나무의 디테일한 테크닉(Technic)은 초현실적 독특한 기법으로 환상적인 우연의 효과를 주고 있다. 그리고 우주와 세상이 둥글게 돌아가는 이치와 자연 순환의 근원인, 생성과 소멸을 구와 원을 통해 철학적인 표현을 하고 있다. 요사이 세계적인 미세먼지와 화산 폭발, 산불, 홍수가 휩쓸고 지나간 자연의 재앙을 볼 때, 안타까움에 더욱더 자연보호에 깊은 관심과 경각심을 고취시켜 일깨워 준다. 준비된 자만이 기회를 잡듯이, 늘 연구하고 앞서가는 창작으로 본인만의 향기를 가지고 독창적인 아우라(Aura)를 구축하고자 노력한다.

#자연과 공존
Artist image

정준미

정준미 Jeong Jun Mi 덕성여대 한국화과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동양화과 졸업 개인전 2023 개인전 – gallery ON 2022 개인전, 리앤케이, 퍼블릭 갤러리 2022 개인전 , 생활지음갤러리 2021 개인전, 더라이브러리 이매점, 퍼블릭갤러리 개인전 –gallery ON 2017 코아프전 –윌리힐리파크(부스전) 2016 저작거리전 –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부스전) 남송국제아트쇼- 성남아트센터(부스전) 오렌지아트페어, 코아프전 – 춘천 장난감 박물관(부스전) 2015 마니프전-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부스전) 공평갤러리 – 12지상전 (부스전) 2014 더케이 갤러리 2012 이레갤러리 2011 문갤러리- 중국, 북경 크로스베이 갤러리- 호주,시드니 2010 율갤러리- 향을 입다전 신한아트홀 초대전 2008 인사아트센터- 향을 입다 전 2007 갤러리 라메르 단체전 2024 2024 Art Formosa in Taipei-대만, 에슬라이트 호텔 May: I love you (아트버디 갤러리) 플리옥션 re 아트페어(갤러리 서촌) 뱅크아트페어( 세텍) 2023 나눔자선바자회(갤러리 세인 x 갤러리 보나) 진명전(인사아트센터) 진명소품전(더웨이갤러리) 2019 ADM갤러리 –동네아트페스티벌 2016 진화하는 뿌리전 (갤러리 포월스) 한국화페스티벌- 대구문화예술회관 남송의 봄전- 갤러리 순 2015 자화상전- 서신갤러리 후소회 초대작가전- 갤러리 라메르 2014 한중현대회화 교류전- 북경, 베이항 미술관 제 4회 대만 수묵비엔날레- 대만 2013 굿모닝 아트 컬렉션전- 한전아트센터 2011 인맥전 – 이레 갤러리 Grow out- 더 케이 갤러리 인사아트포럼전 - 세종문화회관 * 제 4회 경향미술대전 대상 수상 작가노트 동글동글 귀여운 얼굴, 폭신폭신하고 부드러운 털, 선한 눈망울의 사랑스럽고 귀여운 모습의 테디베어는 존재만으로 나에게 웃음을 준다. 나에게는 귀여운 아기가 되기도 하고 엄마같은 포근함도 주고 또 친구같은 존재가 되어주기도 하는 소중한 존재들이다, 귀엽고 작고 연약한 모습이지만 내가 힘들고 지치고 외로울 때 그 작고 귀여운 동그란 손으로 토닥토닥 나를 위로해준다. 외로울 땐 친구가 되어주고 나에게 말을 걸어준다. 내가 아주 작은 아기였을 때부터 어른이 된 지금까지도 한결같이 옆에서 친구가 되어준 테디 베어는 또한 나의 자화상이기도 하다. 나는 캔버스 속에 사랑스러운 테디베어와 바니들을 통해서 내면의 나의 모습을 투영시킨다. 가끔은 외롭게 보이기도 하고 가끔은 토라져 있고 슬플 때도 즐거울 때도 있다, 캔버스 속에 테디베어와 바니들은 나의 삶 속의 모습들이기도 하다. 삶은 기쁨 뒤에는 슬픔이 있고 고통 뒤에는 행복이 오고 이러한 과정의 반복 속에서 살아간 다. 고통이 왔을 때 이 또한 지나가면 행복이 있다는 걸 살아가면서 경험 속에서 깨닫는다. 삶은 멀리서 보면 희극이지만 가까이서 보면 비극인것처럼 사랑스럽고 예쁘고 귀여운 모습의 인형들이지만 그들에게서 희,노,애,락과 같은 감정을 표현하고 싶었다. 인형들을 그리는 작업은 나에게 치유와 행복의 감정을 가져다 준다. 그들을 하나하나 섬세한 선으로 쌓아올려 완성해가는 과정은 그들에게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 는 작업이다. 무생물의 인형을 살아있는 자연의 생명력을 가진 존재로 캔버스 위에 담고 싶다. 자연의 강한 생명력을 가진 야생화와 들풀의 이미지를 선으로 계속 쌓아 겹쳐 올리면서 대상 을 형상화시킴으로 무생물의 인형들에게 자연의 무한한 에너지와 생명력을 담아내고자 한다.

#인형그림 #태디베어그림
Artist image

한해숙

한 해 숙(韓 海 淑) Hae suk, Han 1976년생 국립공주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 출판 ] 20160118 [단상 고양이] : 혜지원 출판사 : 단행본 출판 [ 개인전 ] :17회 2024: [한해숙 초대 개인전]: 서울, 아트보다 x 크링 갤러리 2023 [이달의 작가, 한해숙 초대전] : 천안, M스테이션(신불당아트센터) 2023 [YTN x ecorock gallery] 초대 개인전 2022 [단상 고양이]展 : 서울 유갤러리 초대전 2021 [단상 고양이]展 : 세종 바탕갤러리 초대전 2021 [단상 고양이]展 : 서울 은하갤러리 초대전 2021 [단상 고양이: 봄 단상]展 : 서울 살롱리아(리아갤러리) 초대전 2020 [단상 고양이]展 : 천안 Petit Paris 초대전 2017 [단상 고양이]展 :서울 서교동 CAFE DACAFO 초대전 2017 [단상 고양이]展 : 일본 교토 사노갤러리 초대전 2016 [단상 고양이]展 : 대구 DCU갤러리 초대전 2016 [단상 고양이]展 : 천안 북카페 산새 초대전 2016 [단상 고양이]展 : 서울 서교동 갤러리 아침 초대전  2013 [밥 안 먹는 와이프]展: 서울 아이노갤러리 2011 [책 읽는 고양이]展 : 천안 산새 북카페 초대전 2007 [CAFE]展 : 서울 홍대 BLOCK. 2006 [I ME MINE]展 : 서울 쌈지 일러팝. 기획전. [ 그룹전 & 아트페어 & 옥션 ] : 총 150회 이상 2024 [뱅크아트페어] : 서울, 세텍 :예인갤러리초대 2024 [조형아트서울 2024]: 서울, 코엑스 : 가온갤러리초대 2024 [이달의 작가]展 :천안, M갤러리 기획초대전 2024 [제5회 아트락페스티벌]: 서울,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2023 [뱅크아트페어]: 서울, SETEC :비움갤러리초대 2023 [그림정원 가는 길]: 세종, BRT미술관(세종문화재단) 2023 [MY MESSAGES] 기획초대전, 경기, 아트리에갤러리 본사 2023 [케이옥션 프리미엄 경매]: 서울, 케이옥션 아트타워 2022 [케이옥션 프리미엄 경매]: 서울, 케이옥션 아트타워 2022 [MEET UP ART FAIR]: 서울, 꼴라보하우스 도산 2021 [케이옥션 프리미엄 경매]: 서울, 케이옥션 아트타워 2019 [프런티어프로젝트2019]展 : 서울 인사동 미술세계 갤러리 2019 [BAMA 부산국제화랑아트페어] : 부산 벡스코 :에코락갤러리초대 2013 [ 2013 한 중 일 교류전] : 일본 나가사키 브릭 홀 2층 2012 [그린책방]展: 서울 세종문화회관 광화랑 2011 [서울 국제 도서전] : 서울 코엑스 A,B홀 외 다수 E-mail address : artfrog76@naver.com Naver Influencer : http://in.naver.com/hanhaesuk Instagram : www.instagram.com/hanhaesuk <작가 노트> ‘단상 고양이’를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것은, 모두가 목표만 보고 달려가는 성과 시대에 자칫 잊어가는 일상의 소중한 가치에 관한 이야기, 점점 잊혀가는 우리 전통문화에 관한 이야기, 회복과 재생의 삶에 관한 이야기, 소소한 추억 소환으로 대중들의 공감과 환기를 이끌어 삶의 가치를 생각해 보게 하는 것에 있다. ‘단상 고양이’ 작품들은 대부분 나와 연결된 여러 관계와 생애에서 겪게 되는 경험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출발한다. 우리 중 누구 하나, 같은 삶은 없지만 그럼에도 우리는 무수히 많은 교차점을 갖고 있다. 그 교차점에서 단상 고양이의 이야기가 생겨난다. 그 교차점에서 그려진 단상 고양이 작품을 통해 대중과의 공감이 생겨나고, 그러한 공감과 공유는 결국 삶에 대한, 작품에 대한 진정성으로 연결된다고 생각한다. ‘단상 고양이’는 ‘바다처럼 푸른 눈동자를 가진 하얀 고양이’다. 그 모습은 ‘맑은 바다’라는 뜻을 가진 나의 이름과도 연결된다. 부담스럽지 않게, 어렵지 않게, 고양이처럼 유연하게 메시지를 전달하고, 소통하고 싶어서 만든 캐릭터다. 교차점과도 같은 인간의 서사를 찾아 다양한 이야기를 단상 고양이를 통해서 하고 있기에 매 순간 인지하게 되는 것은, ‘단상 고양이’ 캐릭터는 페르소나이자 나와 대중을, 나와 사회를, 안과 밖을 연결하는 매개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단상 고양이’라는 캐릭터의 탐구는 나의 정체성 탐구인 셈이다. 다양한 의식이 공존하는 시대에 정체성에 대한 의미를 파악하는 건, 살아가는 과정이면서 동시에 전체의 삶이기도 하고 작가로서 작품을 대하는 기본적인 태도가 되기도 한다. ‘하나의 그림은 하나의 소중한 시간’이라는 칼 라르손의 말을 좋아한다. 하나의 그림 안에는 작가가 그림을 그리는 동안의 시간과 작가가 그림 속에 담고자 하는 ‘어떠한’ 시간도 포함한다. 그게 일상의 찰나와 같은 시간이 되기도 하고, 기억 속 묵직한 겹겹의 시간이 되기도 하는 것처럼 단상 고양이 작품을 통해 여러 시간 속 대중들의 소중한 시간도 만나게 되길 소망한다.

#단상고양이
Artist image

바켠

Bakyun 전시활동 개인전 디딤돌 프로젝트, 개인전, SOMA 2023 신진작가 개인전, 남송미술관, 경기 2021 그룹전 어릔이전 갤러리강호 2024 여름선물 28전 비움갤러리 2024 CAAS 3 이스트아뜰리에 2024 Sweet heart 이스트아뜰리에 2024 기획소품전 르비드갤러리 2024 아트큐브 영등포문화재단2024 헤쳐모여 6 COTE 2024 CAAS 1 이스트아뜰리에 2024 풍자와해학전 에코락갤러리 2023 청년미술상점 한가람미술관 2023 ArtPrize Gangnam, 착한예술, 서울 2021 아시아프, 서울 2021 신축년전 , 에코락갤러리, 서울 2021 작가공모 당선작가 전, 아트아레나 경기 2020 MIMESIS 바라보기, 청년예술마을 프로젝트 2019 영 아티스트 화기 애애 전, 롯데갤러리 대구 2018 리디아 갤러리기획전 마주보기, 서울 2018 외 다수 2016~2017 20회이상 아트페어 참가내역 청년미술 아트페어 예술의전당 2024 서울 아트페어 비움갤러리 2024 조형아트서울 2024 BAMA 2024 Paris artshopping 프랑스 2024 MOAF 아트필드갤러리 2023 서울 아트쇼 2022 인천아시아아트쇼 2022 외 20회 이상 작가노트 여행을 통해 들여다본 현실의 장소를 바탕으로 자연의 평화로움을 동물의 마음으로 바라본다. 자연에서 오는 신비함, 공허, 쓸쓸함, 즐거움, 외로움, 치유, 기다림, 휴식, 사라지는 빛의 감정들을 삶에서 다양하게 교차하는 심정들과 아름다움 뒤에 숨어있는 환경의 위기도 담고있다. 계절의 풍경과 대지의 동, 식물들이 변함없는 자연 속 빛의 기운을 받으며 살고 싶은 모든 생명체들의 소망을 나타낸다. 작업 방식은 가죽을 재단하고 바느질과 미싱으로 콜라주한 뒤 동서양의 기법을 혼합하여 자유롭게 표현한다. 재료의 대부분은 공장에서 버려지는 가죽을 사용한다. 옷 쓰레기 산에 대한 환경문제에서 가죽과 폴리 소재들은 땅에서 썩는데 200년 이상이 걸린다. 작업에서 가죽은 동물의 질감을 표현하기에 좋고 버려진 재료에 색채를 입히고 아름다움을 살리는 과정에서 가장 순수하고 무해한 존재적 희생을 통해 한 생명체가 치유되고 다시 새것이 되기를 바란다.

#가죽예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