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83작가

Artist

Artist image

조상은

대표 약력 학력 2019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회화전공 박사 졸업 2012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회화과 석사 졸업 2007 세종대학교 예체능대학 회화과 졸업 개인전(20회) 2024 초대전, 빛과 바람의 길, 미앤갤러리, 서울 2024 초대전, 빛이 흐르는 세계(The World Where Light Flows), 갤러리 칠이공구, 수원 2024 초대전, 마음의 빛, 아트보다, 서울 2023 초대전, 빛의 사유(思惟), 아트컨티뉴 갤러리, 대전 2023 초대전, 소우주-세계를 품은 빛, 갤러리 마무, 하남 2022 초대전, 하루의 빛과 사랑으로, 갤러리 미르, 대구 2022 기나긴 삶은 빛이 되어: 생명의 탄생, 성장, 영원의 세계, CICA 미술관, 김포 2021 끝없는 빛의 여정(Endless Journey of Lights), 레드엘 갤러리, 대전 2018 빛의 공간-Flowing Star, 갤러리 탐, 서울 2018 초대전, 우주-Journey of Light, Somerset Palace Seoul, 서울 2017 박사학위 청구전, 흐름의 공간(Space of Flow),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서울 그룹전(56회) 2024 초대전, 나의 아름다운 정원 Mon beau Jardin(2인전), 포브 갤러리, 서울 2024 초대전, 나의 우주 My Universe(2인전), 갤러리탐(탐앤탐스 블랙 압구정점), 서울 2023 초대전, 삼성물산×플리옥션 기획전, 삼성 래미안 아트갤러리, 서울 2023 초대전, Rising(2인전), 아트보다, 서울 2022 초대전, FLEA;GROUND, KT&G 상상마당 갤러리, 서울 2022 우리는 누구나 어린이였다, 하랑 갤러리, 서울 2021 One to Two, Adm 갤러리, 서울 2021 초대전, 더 아트 서울: 한 채, 돈의문박물관마을, 서울 2021 은평문화재단 문화예술시장 활성화 사업: 예술시장 다다, 은평문화예술회관 숲속극장, 서울 2021 Step-by-Step, 아트온행거 작가 미술장터, 광교 앨리웨이 어라운드라이프동, 수원 2021 Gangnam Start-up&Art Festival, ADM 갤러리&TIPS TOWN S2, 서울 2021 서울시 신진미술인 지원사업: 모두에게 멋진 날들(Wonderful days for all), 서울자유시민대학, 서울 2021 1st 아트 New 모어, 갤러리 아트컨티뉴, 서울 2020 초대전, 한여름밤의 꿈, 차아뜨 갤러리, 양주 2018 Seoul New Face Art, 뚝섬 전망문화콤플렉스 자벌레, 서울 2018 Project Zebra, 예술공간 봄, 수원 2018 육인의 육호(Six to Six), 갤러리 815, 서울 2018 우수작가전, 조선일보 미술관, 서울 2017 초대전, 공감의 온도, 마음을 나누다, 분당 서울대학교 병원 Space U, 성남 2016 Korean Wunderkammer, Fondazione Luciana Matalon, Milano, Italy 2016 초대전, Coevolution- 공진화, 최정아 갤러리, 서울 2016 서울미술대상전,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미술관, 서울 2016 초대전, 서울모던아트쇼: Young Artist Wall 40m,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2015 겨울이야기, 경민 현대미술관, 의정부 2015 CICA 현대사진전, CICA 미술관, 김포 2015 아시아 현대미술 청년작가전,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서울 아트페어(25회) 2024 초대전, 인천아트쇼, 송도 컨벤시아 전시장 2~4홀, 인천 2024 초대전, K-아트페어 대전, 대전컨벤션센터 제2전시장, 대전 2024 초대전, 제9회 조형아트서울, 코엑스 B홀, 서울 2024 초대전, 제13회 BAMA 부산국제화랑아트페어, 벡스코 제1전시장, 부산 2024 초대전, 제11회 뱅크아트페어, 롯데호텔 서울, 서울 2024 초대전, The Giaf 더그랜드아트페어, 서울신라호텔, 서울 2023 초대전, 제12회 서울아트쇼, 코엑스 A홀, 서울 2023 초대전, 제8회 명동국제아트페스티벌 K·ART SHOW SEOUL, 롯데호텔 서울, 서울 2023 초대전, 국제블루아트페어, 파라다이스 부산 호텔, 부산 2023 초대전, 제2회 조형아트서울 호텔아트쇼, JW 메리어트호텔 서울, 서울 주요 수상 2007 세종대학교 예체능대학 수석상(수석 졸업), 세종대학교, 서울 작품 소장 인천미술은행, 서울특별시청,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세종대학교, 기업&갤러리&개인 소장 다수 -작가 노트- 작가는 매 순간마다 역동적으로 흐르는 빛의 생명력을 응시하고 성찰하는 과정에서 ‘사유의 빛’을 바라보고 탐구한다. 삶 가까이에서 포근하게 흐르는 빛의 온기는 바람을 타고 시공간을 유영하면서 찬란하고 역동적인 풍경의 세계로 나아간다. 이를 토대로 작품은 강렬한 빛의 태동으로부터 영원한 미래로 나아가는 생명의 여정을 동적 이미지로 구체화하여 빛과 생명이 흐르는 세계를 형상화한다. 표현의 측면에서 빛과 운동성에 대한 회화 연구는 2차원의 화면 안에 운동하는 상태의 이미지가 응집되는 과정으로 전개되며, 작품은 긴 시간 동안 다층적으로 물감을 쌓아올리는 중첩 과정을 통해 밀도 높은 작품으로 완성된다. 특히 작품은 검은색에 가까운 짙은 화면에서 시작하여 다채로운 유화 물감을 8~10겹 내외로 중첩하여 완성한다. 어두운 화면에서 점점 빛을 밝히는 과정을 통해 깊은 울림이 있는 빛을 발견하고 형상화한다. 3~6개월에 걸쳐서 완성된 작품의 시간과 유화 물감을 여려 겹으로 쌓아올리는 과정은 가시적인 시공간의 세계와 내면으로 흐르는 빛의 운동성을 가장 극대화할 수 있는 표현 연구이다. 그 표현의 과정에서 작가는 가시화와 비가시화의 경계에 있는 풍경과 대기에 흩뿌려진 빛의 흔적을 역동적인 힘의 표현으로 담아낸다. 특히 창작의 과정에서 색채의 표현은 다양한 방향으로 분산되고 교차되는 물감의 궤적에 의해 거대한 캔버스의 표면 안에 용해되면서 운동성에 대한 표현 연구를 심화해 간다. 이처럼 순간적인 빛의 이미지와 운동성에 관한 회화 연구는 작가가 추구하는 풍경의 세계로 확장되어 나아간다. 평생 동안 지속적으로 그림을 그려 온 작가에게 예술의 공간은 일상 가운데 마주하는 빛의 이미지를 통해 인간의 삶에서부터 우주적인 세계를 성찰하는 사유의 공간이다. 이처럼 삶과 예술의 여정 가운데 강렬하게 흐르는 빛의 생명력을 매일 응시하고 성찰하면서 사유의 빛으로 확장되는 예술 세계를 희망한다.

#사유의 빛 #빛이 흐르는 세계
Artist image

이현진

수원대학교 한국화과 졸업 ◈ 초대전 및 개인전 2024 제4회 개인전(갤러리 AN) 2023 제3회 개인전(더숲갤러리 초대) 2022 제2회 개인전(갤러리로 초대) 2021 제1회 개인전(갤러리 AN) ◈ 아트페어 2024 대전국제아트페어(컨벤션센터) 2024 BAMA 부산국제화랑아트페어(벡스코) 2024 뱅크호텔아트페어(롯데호텔) 2023 서울홈테이블데코페어(코엑스) 2023 울산국제아트페어 2023 대구블루아트페어 2023 그림 시장(갤러리 이오) 2023 조형아트페어(코엑스) 2023 뱅크아트페어(롯데호텔 서울) 2022 서울아트쇼(코엑스) 2022 인천아시아아트쇼(송도 컨벤시아) 2022 뱅크아트페어(코엑스 인터컨티넨탈 호텔) 2022 울산국제아트페어(울산전시컨벤션센터) 2021 서울아트쇼(코엑스) 2021 홈테이블 데코페어(코엑스 인터컨티넨탈 호텔) 2021 뱅크아트페어(코엑스 인터컨티넨탈 호텔) 2021 핑크아트페어(코엑스 인터컨티넨탈 호텔) 2020 BAMA 부산아트페어(벡스코) 2020 핑크아트페어(코엑스 인터컨티넨탈 호텔) 2019 아트 아시아(코엑스) ◈그룹전 및 기획전 2024 문래아트페어(아트필드갤러리) 2024 특별그룹전(아트가가) 2024 KCAF(인사동 마루아트센터) 2024 RGB 3인전(갤러리썬) 2024 AAC 아름다운 동행(안젤리미술관,용인) 2024 부활 피어나는 꽃(안젤리미술관,용인) 2024 (명동 로드갤러리,서울) 2024 벌무신통 기획전 잇다(유나이티드 갤러리,서울) 2023 아트나눔전 (갤러리AN,분당) 2023 Monday morning(갤러리AN,분당) 2023 K옥션 프리미엄 경매(K옥션 전시장) 2023 그림시장(갤러리이오,서울) 2023 더불어전(성남아트센터,분당) 2023 새해선물전(갤러리에아,서울) 2023 Connected memories(유나이티드 갤러리) 2023 더불어전(성남아트센터) 2023 새해선물전(갤러리에아) 2022 아트나눔전 (갤러리AN) 2022 ‘아트로 미래로’(고운미술관) 2022 유나이티드 갤러리 기획전 2022 별무신통전(8street 갤러리) 2021 아트나눔전 2021 위드 아트(유나이티드 갤러리) 2021 더불어전(성남아트센터) 2021 from전(유나이티드 갤러리) 2020 별무신통전(한전아트센터) 2020 아트나눔전(갤러리AN) 2019 별무신통전(한전아트센터) 2018 더불어전(성남아트센터) -작가노트- 도자와 그림에 빠진 행복한 중독 아이들에게 흙을 주면 즐거워하듯 나 또한 그러한 마음으로 흙으로 정성스레 꽃과 새와 찻잔을 빚고 빚었다. 이렇게 빚어진 조각들은 아기를 다루듯이 살살 다루어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그동안의 노력이 헛수고가 되어버리고 만다. 두 번의 소성을 거쳐 만들어진 이 작은 조각들은 견고해지고, 단단해진다. 하나하나의 이 작은 조각들을 그림 속 있어야 할 자리에서 어우러져 빛을 낸다. 어울림을 찾기 위해 수없이 자리를 옮겨가며 혼자만의 유레카를 외친다. 그림과 도자의 조화로운 표현은 쉽지 않은 작업이다. 이 쉽지 않음이 나를 성장하게 한다. 세상에 어우러져 살아가는 따뜻한 우리네의 마음을 배우며, 우리의 삶이 꽃길만 펼쳐진 것은 아니지만 꽃길 (기쁨,자유,평안) 같은 마음으로 인도해준다. 어느 모임에서 한 친구가 예쁜 찻잔에 커피를 마시는 시간이 가장 평화로운 시간이라는 말을 귀담아 듣고 찻잔을 소재로 삼게 되었다 이 찻잔들은 소통과 공감을 이야기한다. 우리들의 일상에서 꾸준히 한 부분을 차지한다 한쪽에 가만히 놓인 채 사용해 주길 바라고 우리에게 따뜻한 온기를 전해준다 화원을 운영하셨던 부모님을 도와드리며 꽃과 함께 보내는 시간이 많았다. 예쁜 꽃을 보며 그 색의 오묘함에 빠져들곤 했다. 꽃을 좋아하신다는 어느 손님은 50여 그루를 키우고 있는데도 또 사고 싶어서 나왔다며 자신을 꽃에 중독되었다며 행복해하셨다 세상의 그 어떤 것에 중독된 것이 아닌 아름다운 자연에 중독된다는 사실은 얼마나 행복한 일인가! 내 그림 속에 등장하는 꽃들은 멈추어야 하는 중독이 아닌 `행복한 중독`이다 내 작품 속에는 서로 바라봐주는 새들이 등장하는 작은 숲이 있다 내 작업의 출발과 힘인 가족과 천국을 상징한다 우리에게 안락한 집과 가족이 지친 어깨를 기댈 수 있는 작은 숲이 되길 소망한다

#도자와 그림 #행복한 중독
Artist image

김명진

대표약력 중앙대학교 서양화학과 졸업/공예과 부전공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서양화학과 졸업 수상 2002 전국 미술대전(특선) 2022 부산국제미술대전(특선) 2024 아름다운동행 표창 개인전11회 주요개인전 2024 달의 정원 (ARTBODA) 2023 행복을찾아서(갤러리 탐) 2022 Dremer:우리는 모두 별이다 (인영 아트센터) 단체전 주요단체전 40여회 2024 아름다운 동행展(평택소방서) 2024 Dear U (비오케이아트센터) 2024 똑!똑!똑! (대전 롯데백화점) 2024 여기서,카덴차(안성스타필드 작은 미술관) 2024 김명진&김옥희 2인전(갤러리코코모) 2024 새해소원 선물전(T2 갤러리) 2024 10,균형과 조화(갤러리 엠) 2024 28인 28전(비움갤러리) 2023 소사벌현대작가회(평택 남부문예회관) 2023 일상 속 미적 순간의 재구성(갤러리 더문) 2023 모든 빛이 사라진 후에도(갤러리 자유) 2023 빛과 색의 시간 (갤러리 더문) 2023 소사벌국제아트쇼(평택호예술관) 2023 카르티즘페스티벌(마루아트센터) 2023 가을에게(갤러리 엠) 2023 Long Vacation(아트클로버) 2023 가을동화(비움갤러리,서울) 2023 합격기원전시 (자인갤러리) 2023 여름선물 28전(비움갤러리) 2023 비움 신진작가공모전시(비움갤러리) 2023 아트오일장 (아미디 갤러리 한남) 2023 김다진&김명진 2인전(크링갤러리) 2023 기묘한이야기(아트보다 갤러리) 2023 새해특별 선물전(롯데백화점-일산) 아트페어 30여회 2024 Diaf+ (대구엑스코) 2024 아트대구(대구엑스코) 2024 K_아트페어(DCC대전컨벤션센터) 2024 뱅크아트페어(SETEC) 2024 울산국제아트페어(울산국컨벤션센터) 2024 블루아트페어(벡스코) 2024 조형아트페어(코엑스) 2024 서울아트페어(SETEC) 2024 뱅크아트페어(명동롯데호텔) 2023 서울아트쇼(코엑스) 2023 UIAF 울산 국제 아트페어(UECO) 2023 INHAF 인천호텔아트페어 2023 뱅크아트페어(SETEC) 2023 GIAF(신라호텔서울) 2023 MOAF(아트필드 갤러리전관) 2023 조형아트서울(코엑스) 2023 국제블루아트페어(웨스턴조선 부산) 2023 뱅크아트페어(명동롯데호텔) 2023 제주아트페스타(제주 국제 컨벤션센터) 주요작품소장처 케이옥션 활기찬신경외과& 개인소장 다수 -작가노트- 내 작업은 꿈과 현실의 경계를 탐구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달의 정원' 시리즈는 상상력과 감정의 교차점에서 태어난 작품으로, 각 캐릭터는 나의 내면세계를 반영한다. 소녀는 순수한 꿈을 가지고 있는 존재로, 고양이는 자유롭고 독립적인 성격을, 토끼는 순진함과 호기심을 상징한다. 이들은 모두 달이라는 신비로운 공간에서 서로의 이야기를 나누며, 각자의 감정을 표현한다. 나의 작업에서 달은 단순한 배경이 아닌, 복잡한 감정을 담아내는 중요한 요소이다. 달빛 아래에서 펼쳐지는 캐릭터들의 상호작용은 고독, 사랑, 상실, 희망 등 다양한 감정을 담아내는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다. “몽유산수”는 산수화 형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으로 동양의 미학과 현대적 감성을 결합한 독창적인 세계를 제시한다. 몽유산수는 현실 세계를 초월한 상상 속의 이상향을 표현한 것으로 자연의 아름다움 속에서 인간의 감정과 내면을 조화롭게 표현하여, 관람자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고자 하였다. 현대 사회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우리는 불안과 고립을 느끼기 쉽다. 특히 디지털 세계에서의 소통 부족과 환경 문제는 우리에게 큰 도전과제를 안겨준다. 달은 우리에게 익숙하면서도 동시에 멀게 느껴지는 존재로, 그곳에서의 대화는 현실에서의 갈등과 욕망을 뒤로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탐험하게 한다. 이러한 상징적 요소들은 현대 사회의 문제를 반영하며, 관객이 각자의 감정을 되새기고 공감할 수 있도록 이끈다. 나는 예술이 사회와 대화하는 중요한 매개체라고 믿으며, 이 작업이 누군가에게 작은 울림을 줄 수 있기를 희망한다. 결국, 우리는 모두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연결이 현대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달의 정원
Artist image

박다해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조각과졸업 개인전 2016년 오누이 갤러리 (대림동) 2017년 마루아트센터 (인사동) 2018년 인사아트플라자(인사동) 2021년 갤러리마이(논현동) 2021년 Galerie EDMC(파리,프랑스) 2022년 초대전 미야 갤러리(신사동) 2022년 초대전 F1갤러리 2023년 초대전 갤러리 아트눈 2023년 초대전 갤러리 예인 2024년 초대전 워커힐 호텔 빛의 라운지 에이디션 갤러리 페어및 단체전 서울아트쇼. 조형. 뱅크. 등 30회이상 참여. 2022~24년 혜화 소담한 선물전 (혜화아트센터) 2022년 paris carrousel du Louvre Art shopping(파리. 프랑스) 2022년 DC 아트페어전 (이스탄불 .터키) 2022년 포항아트페어(라한호텔. 콩세유 갤러리) 2023 DUBAI Art Show (Calerie Hamadan) 2023년 조형 아트페어(코엑스) 2023년 서울 아트쇼(코엑스) 2023년 서울 아트페어(세텍)등 단체전 23년 오인오색전( 울산 문화원) 23년 서초미술협회 서양화분과전(서초문화회관) 23년 아시아 미술 교류전 (인사동 마루아트센터) 제2회 강남3구 단체전(예송미술관) 23년 한국여성작가 회화 전시(한국관 갤러리.인사) 22년 아트 콘서트 콜라보 전시( 라라컴퍼니.마이아트컴퍼니후원.광명극장) 제26회 통일 문화제 대표작가초대전.(인사아트프라자) 글로벌 한일 중진작가 초대전(부산 솔갤러리) 22년 한ㆍ중 교류전 (예송미술관) 2018~23년 서초협회전 (예술의전당.한가람 미술관) 2018~23한국 프랑스 미술교류전 (인사동 마루아트센타3,4관) 2016~21년 BOA전(대림동 오누이 갤러리) 1996년 작은 조각회전(경인갤러리.인사) 1995년 떼뜨누벨전(서경갤러리.인사)등등 현) 서초미술협회회원 아시아 국제 미술협회원 2022년,23년 문화일보 작가소개 2012년 대한미술협회 지도자상 수상. 2021한국여성작가 회화공모전 특선입상 2023년 국제 현대미술대전 우수상. 제44회 대한민국 현대미술대전 장려상 입상. 위즈아츠 갤러리 전속. -작가노트- 올망 졸망, 알록달록, 선물상자처럼, 어깨를 맞대고 리듬을 타며 줄줄히 늘어선 작은집에서, 수많은 꿈들이 유쾌한 웃음으로 차르르 쏟아지는 "행복한동네" 동화같은 집들사이에 놓인 풀꽃들의 다정함. 깨발랄 길고양이 겨울이. 모성애 강한 엄마 유기견 이뿌니. 관람자를 작품의 한가운데로 초대하는,쥬스가 있는 파라솔. 이러한 텍스트는 나의 이상향을 담은 생명권에 기인한다. 언제나 굶주림과 로드킬에 노출되어 있는 도심의 길고양이들과 유기견. 간혹 구조 되어도 좋은가정으로 입양까지 녹록지 않은 현실에서, 이들과 함께 더불어사는 동네, 공존하는 동네가 진정 "행복한동네"가 아닐까?!! 하여 오늘도 희망과 설레임 가득, 염원하는 마음으로 캔버스에 담는다 우리 동네에 살고 있는 이웃들, 꽃과 강아지, 고양이, 그리고 사람들. 모든 생명이 어울렁 더울렁 더불어 살며 수많은 꿈들이 유쾌한 웃음으로 쏟아지는 행복한 동네에 대한 소망을 작품에 담았습니다. "안락사 위기의 유기견, 길 위에서 매일 굶주림과 사투하는 길고양이들. 이들의 눈으로 바라보는 세상은 어떨까. 구조해서 치료하고 좋은 가정으로 입양하는 과정을 거들면서 암담한 현실에 눈물 지을 때도 많았다. 이들에게 행복한 세상은 없는 걸까." ​ 박다해 작가의 개인전 ‘행복한 동네’는 세상의 생명이 공존하길 바라는 꿈을 담고 있다. 전시 제목에서처럼 모든 존재가 더불어 살며 한껏 행복했으면 하는 소망을 17점의 작품을 통해 표현하고 있다. ​ 박 작가의 회화는 밝고 환한 색감으로 주제를 강조한다. 혼합재료와 나전(螺鈿)을 활용해 그 색감을 두드러지게 했다는 데 큰 특징이 있다. ​ 나전은 광채가 나는 자개 조각을 여러 가지 모양으로 박아 넣거나 붙여서 장식하는 전통공예 기법이다. 나전으로 만든 나전장 혹은 자개장이 부의 상징이었던 시절이 있었으나, 지금은 가정에서 보기 드물다. 작가는 "어린 시절 외할머니 댁에 놀러 가 자개장을 배경으로 둘러앉아 감자를 먹던 풍경이 아련하게 떠오른다"라며 "세계 최고의 나전 기술을 자랑하는 나라에서 그 문화가 사라지는 것이 안타깝다"고 했다. ​ 그런 그리움과 안타까움이 작가로 하여금 나전칠기의 전통 기법을 현대미술에 접목하도록 이끌었다. 작은 조각을 이어붙여서 그림을 그리는 할패법(割貝法), 실 같이 켜낸 자개를 끊어 이어붙이는 끊음질 기법을 활용했다. 오늘의 세상을 표현하는 회화작품에 전통 기법이 쓰인 것이 이채롭다. 작가 스스로 ‘신의 한 수’로 여기는 이 조화를 전시장에 가서 즐겨볼 것을 권한다. 서울 논현동 ‘갤러리마이’에서 이달 15일부터 28일까지 펼쳐진다. ​ 한편, 박 작가는 서울시립대 환경조각과를 졸업하고 다수의 개인전과 단체전에서 작품을 선보였다. 한국 프랑스 국제교류회 국제협력 이사를 맡으며 서초미술협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 출처: https://esmcenter.tistory.com/13138 [<공식> 창업경영포럼 ESM소비자평가단 대상 소비자저널 보도자료:티스토리]

#생명의 공존 #행복한 동네
Artist image

이선희

이 선희 LEE SUN HEE 이화여자 대학교 조형예술대학 도예과 졸업, 대학원 졸업 미술학 석사 개인전 13회-경인미술관 개인전 2024.5 아트99갤러리 초대전 2023.7 갤러리 아트 클로버 초대전2023.5 갤러리 밀레 초대전2023.4 갤러리 온 초대전 2022 9 갤러리 가온 초대전 2022 6 갤러리 AP 초대전2022 5 갤러리 고도 기획전2021 갤러리31기획전 2020 갤러리 아트리에 초대전 2019 갤러리 올 2018 갤러리 벽적골 2017 갤러리 보드레 안다미로 초대전 2016 그룹전 및 아트페어 2024 조형아트페어2024 코엑스 Affordable artfair hongkong2024 Art vancouber2024 canada 화랑미술제 2024 코엑스 뱅크아트페어 2024 롯데호텔 새해소원 선물전 T2갤러리 새해소망 나의 작품전 고도갤러리 2023 화랑미술제 2023 코엑스 서울아트쇼 2023 코엑스 대구국제아트페어 엑스코 인천호텔페어 센트럴파크송도 뱅크아트페어 세텍 어반브레이크 2023 코엑스 제주국제화랑아트페어 라마다프라자제주 조형아트서울 2023 코엑스 부산국제화랑아트페어 벡스코 부산국제블루아트페어 파라다이스부산 더 그랜드아트페어 호텔신라 갤러리 반포대로5 4인전 갤러리 아트인사이드 초대전 2인전 2023.2 수미회전 아트블랑제이&아트리갤러리 개관초대전 2022 병원안 갤러리 초대전 2인전 2022 10 갤러리 고도 초대전 새해전 갤러리 가온 초대개관전 수미회 회원전 부산국제 화랑아트페어BAMA 조형아트서울2022 대구 블루아트페어 울산 국제아트페어 뱅크호텔페어 인천 아시아아트쇼 2022 2021 부산국제 화랑아트페어BAMA 조형아트서울2021 Fine art fair in BUSAN NEW ATELIER GROUP 전 순수 7인 전 대구아트페어2021 BANK art fair 인천아시아아트쇼2021 서울아트쇼2021 2020 부산국제화랑아트페어BAMA 한성백제송파미술제 조형아트서울2020 秀미회 전- 갤러리31 Thank you전- 제이갤러리 2019 서울아트쇼 조형아트쇼서울2019 SCAF 아트페어 중국 웨이하이 아트페어 싱가포르 뱅크 아트페어 루브르 아트쇼핑 2018 서울아트쇼 아트오사카 그란비아아트페어 WITH아트페어 대한민국 미술축전 IIAF아트페어 SCAF 아트페어 AP갤러리 초대전. 도림전 수상내역 2016 대한민국 회화대전 입상 2012 대한민국 통일미술대전 입상 1995 동아예술대전 입상 1994 대한민국 미술대전 입상 강의경력 2003. 주성대학교 멀티미디어과 그래픽 강의 2004. 강남대학교 예술학부 도자전공 재료학강의 2004-2005. 신세계 문화센터 미술 실기강의 [목동점] 롯데 문화센터 미술 실기강의 [분당점] 2009. 블루키 문화센터 미술 실기강의 [동백점] 2013-2014. 신세계 문화센터 미술 실기강의 [경기점] 2010-현재까지. 신세계 이마트 문화센타 미술 실기강의 [수지점]

#날아오르다 #하트풍선
Artist image

최명숙

최명숙 CHOI MYEONG SUK 계명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개인전 7회 – 2024 아트버디 x 루아르떼 강남본점 4월 전시 최명숙 초대전 [위로를 담아] 2024 도솔미술관 기획 초대전 COMFORT-위로 2023 서진아트스테이스 유예재 창작기획 ‘COMFORT-무심한 위로’(유예재) 2022 심원心願-바라는 마음(갤러리블라썸) 2017 ‘쉼’ (산다미아노카페갤러리), 2017 최명숙展(토포하우스), 2013 숨겨둔 보물찾기 (아트스페이스) 아트페어 – 2024 PLAS호텔아트쇼(JW메리어트호텔/서울) 2024 뱅크아트페어(SETEC 학여울) 2024 BAMA부산국제화랑아트페어(벡스코) 2024 뱅크호텔아트페어(롯데호텔서울) 2023 서울아트쇼(코엑스) 2023 인천국제아트쇼2023(송도컨벤션전시홀) 2023 뱅크아트페어 (SETEC 학여울) 2023 제주국제아트페어 (제주라마다호텔) 2023 아트페어대구 (EXCO,대구) 2023 뱅크호텔아트페어 (명동롯데호텔) 2023 제주아트페스타 (제주컨벤션센터) 2022 서울아트쇼(코엑스) 2022 위드아트페어(인터컨티넨탈코엑스호텔) 2022 PLAS호텔아트쇼(JW메리어트호텔/서울) 2022 BAMA부산국제호텔아트페어(그랜드조선호텔 부산) 2022 블루아트페어(엑스코/대구) 2022 제2회울산국제아트페어(UECO울산전시컨켄션센터) 2022 아트페스타서울(서울무역전시장SETEC) 2022 제7회뱅트아트페어서울(인터콘티넬탈호텔 코엑스) 2022 제6회서울뷰티인그레이스아트페어 (잠실롯데월드타워1층 다이버홀/서울) 2022 제1회 코리아아트쇼 (수원컨벤션센터/서울) 2022 제1회 라움아트페어 (그랜드호텔/대구) 2021 서울 아트쇼 (코엑스) 2020 아시아호텔아트페어 (나인트리프리미어호텔인사동) 2019 서울 아트쇼 (코엑스) 2018 핑크아트페어(코엑스), 2016 안산 국제 아트페어 개인부스전 (안산문화예술의전당) 그룹전 2024 너에게 닿기를 展 The Muse Art Gallery(베트남 하노이) 겨울안의 봄 (3인전) 갤러리이즈 2023 SCAF정기전 3ST (F1카페갤러리) 靑:春-the best day 김선영,최명숙2인전 (강북삼성병원갤러리나눔존) 2023 감성적 시간 展 그룹전 (갤러리이즈) 2022 더 일링 프로세스 서도,최명숙 2인전 (베타글럽) 2022 SCAF정기전 2ST (갤러리블라썸) 2022 강동미협전 (마루아트센터) 2021 제11회 강동 예술인 페스티벌전시 (강동 아트랑 미술관) 제18회 한강의 흐름전(강동아트랑미술관) 2021 함께하는 선물전 (웃는얼굴아트센터) 2021 SCAF정기전 1ST (갤러리블라썸) 2020 제17회 한강의 흐름전 (갤러리 두) 2020 제4회 한강의 생명전 (새오름 갤러리) 2020 제10회 강동 예술인 페스티벌전시 (강동 아트랑 미술관) 2020 제41회 대한민국현대미술대전 수상자전(마루아트센터) 2020 아! 대한민국"미술인의 힘"전(옹기그룹 아트센터) 프랑스 몽플뢰르 국제작은 그림 초대전 (프랑스, 몽플뢰르) 2018 김월수 시인이 만난 화가 시화전 (갤러리 미술세계) 2018 밀라노 한국 현대미술아트 페스티벌 (이탈리아, 밀라노) 2018 갤러리블라썸 개관기념그룹전 (JK블라썸호텔 갤러리블라썸) 2017 현대미술 회원전 및 수상작가전 (한국미술관) 2017 한옥에서 물들다 展 (리수갤러리) 2015~2017 대한민국 여성 미술대전 (한국미술관) 2015 대한민국 회화대전 2015 ~ 2019 화우회展 2014 기억,한그루展 2014 꽃으로 물들다展 수상 대한민국 현대미술대전 우수상, 특선 대한민국 여성미술대전 특선1회 입선2회 대한민국 회화대전 입선 신라미술대전 판화부문 특선 전국 판화 공모전 입선2회, 특선1회 현: 영등포미협, SCAF -작가노트- COMFORT-위로 나의 그림은 바라는 마음(心願)을 담아 마음의 원(心圓)을 그린 것이다. 마음의 원(心圓)은 달항아리의 형상을 통해, 복을 담고 싶어 하는 염원의 중의적 표현이다. 전통적으로 달항아리는 복을 불러들인다는 길상적 소재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나의 달항아리는 그 이상의 염원들을 담아내고 있다. 그림의 중심소재는 달항아리이고 그것을 통해 모두의 복을 비는 염원을 의미한다면, 그것을 표현하는 방식인 긁어내고, 찍어내고, 꿰매고, 자르는 작업의 행위를 통해 탄생한 소박하고 일그러진 달항아리는 우리의 삶 과도 같은 표현의 방법이다. 천을 자르고, 찍어내고, 긁어내는 작가의 행위들은 우리의 불완전한 삶과 닮아 있다. 그리고, 바느질을 통하여 이를 꿰매고, 붙여내어 우리를 위로한다. 작품의 소재는 산, 새, 꽃이다. 이들의 형상은 조금씩 변형하여 재구성하여 나타난다. 작품속의 새는 나 자신 이기도하고, 나의 가족이기도 하고, 우리이기도 하다. 삶에 지치고 두려워하는 이들이 꿈을 향해 비상하기를. 그리고 자유롭게 꿈을 펼치기를. 행복하기를. 사랑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다. 달항아리가 품고 있는 산은 영원성을 담고 있는 이상향으로 우리를 감싸 안아주며 무심한 위로를 건네는 듯하다. 멀리서 산을 바라보고 있으면 마치 행운이 내가슴 속으로 들어오는 기운을 받는다. 결국 나의 그림을 통해 나의 삶의 이야기를 한다. 나의 마음속에 새가 자유롭게 비상한다. 마치 행복한 안식처를 찾듯이... ‘comfort’는 나의 소망(心願)과 작품의 형상(心圓)에서 더 나아가 작가 자신의 마음(心源) 그 근원을 보여준다.

#위로 #바느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