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83작가

Artist

Artist image

김숙

개인전 32회(부스개인전 포함) 쥬넥스갤러리, 마루아트센터, 갤러리숨, 장은선갤러리, 갤러리두, 핑크갤러리, 예담갤러리, 세종갤러리,올미아트스페이스, 닐리리갤러리, 한경갤러리, 청학대미술관, 아산병원갤러리, 아리수갤러리, 조형갤러리, 파란네모갤러리 외 북경관음당아트페어, 當代中韓優秀美術作品展 등 2011~10년 아트서울전, 2021~12년 마니프구상대제전, 단체전 및 아트페어 2021년 인천아사아아트쇼, 창의문의뜰 판화전, 서울아카데미전,KAUP2021전(갤러리H), AHAF아시아호텔아트페어(부산하얏트),BAMA(부산벡스코),화랑미술제,한국미술 응원프로젝트전(인사아트센터),희망을꽃피우다전(로운 아뜨리움),KAMA전 2020년 송울진전(울진문화회관), 갤러리S 청담개관초대전,신안바다정원에 핀 맨드라미전 (저녁노을미술관), 2020 파마프(PAMAF)전 (의정부예당),갤러리누하 개관 10인전, COVID19 Art Donation전(대구시청),굿모닝 새아침전(인사동) 2019년 9월 KIAF(코엑스), KAMA 10주년전(한가람미술관),가평베네스타골프장 2인전 갤러리두3인전(서울),경남아트페어(창원),조형아트페어(코엑스),with아트페어(송도컨 벤션센터),아카데미정기전(한가람미술관),2019BAMA(부산벡스코),홍콩하버아트페어 (마르코폴로호텔),AHAF BUSAN2019(파라다이스호텔 부산),핑크아트페어서울-개인 룸쇼(그랜드인터컨티내날 파르나스호텔) 2018년 뷰티인그레이스전(한가람7전시관개인부스), 서울아트쇼(코엑스),광주아트페어(김대 중컨벤션센터)~15아트부산(벡스코), 부산BAMA(벡스코),홍콩ACAS페어(콘래드호텔) 2017년 아산병원갤러리초대2인전,인도5인초대전(인코갤러리),인도첸나이비엔날레 초대전 (인도국립라릿칼라),홍콩아트페어, 말레이시아아트페어(쿠알라룸푸르),~13년 화랑 미술제(코엑스), KIAF(코엑스) 2016년 상해아트페어,북경아트차이나,홍콩어퍼터블아트페어,경남아트페어 기타 SOAF(코엑스),서울아트쇼(코엑스) 부산화랑미술제(벡스코), K-ART부산국제아트페어(벡스코)AHAF 아시아호텔아트페어(콘레드호텔) 2018년 갤러리32-6인초대전,제주4인전(현인갤)외 의정부아트페스티발,울진금강송전,당진그리전 등 국내외 소속단체그룹전 및 각종 초대전 170여회 수상경력 대한민국미술대전 ,한국수채화협회공모전, 목우회공모전등 다수 공모전에서 수회 수상 현재 한국미술협회, 신작전, KAMA, 서울아카데미회, 성동미술협회, 작품소장처 대구의료원, 외교통상부, 세종호텔, 숭실대학교, 농협, 청학대미술관, 주)트리플코어스코리아 부산르네상스피부과, 세일CC 등

#맨드라미
Artist image

이현진

이현진 프로필 2024 아트광주24-포아트 제주아트페스타-포아트 서울 세텍 뱅크아트페어-포아트 울산아트페어-포아트 서울뱅크아트페어-포아트.해빛갤러리 더 그랜드아트페어-포아트,갤러리선정 대만 ARTFORMOSA-포아트 2023 서울아트쇼-포아트 블루아트페어(파라다이스호텔)-포아트 바마 호텔아트페어(그랜드조선호텔)-포아트,해빛갤러리 대구 국제블루아트페어-갤러리림해 대만 ARTFORMOSA-포아트 서울뱅크아트페어(세텍)-포아트 The giaf(신라호텔)-갤러리선정 제2회 개인전-새물갤러리 부산 국제블루아트페어-갤러리림해 북구여성 미술인회 정기전-시청2전시관 부산 북구 미술축전 정기전-부산북구문화센터 플리옥션 2022 제1회 개인전-부평 아트스페이스 북구여성 미술인회 정기전-금련산역갤러리 대한민국 동행 페스티벌-라메르갤러리 BFAA국제아트페어-벡스코 서울뱅크아트페어-고아트갤러리 대구 블루아트페어-아트월갤러리 아트페어 울산-갤러리림해 대구라움호텔아트페어-포아트 일산롯데백화점 특별선물전-포아트 부산 북구 미술축전-만세갤러리 2021 금요미전-공감갤러리 BFAA국제아트페어-벡스코 북구여성미술인회 정기전-시청갤러리 부산미술제-벡스코 부산회화제-부산 문화회관 2020 BFAA 국제아트페어-벡스코 금요미술인전-공감갤러리 부산회화제-부산문화회관 외 단체전다수 입상 한국 현대미술문화대전-입상 한서 미술대전-장려상 국제 종합예술대전-은상 이현진 작가노트 신이 모든 곳에 있을 수 없어서 엄마를 만들었다는 유대격언에 깊은 공감을 합니다. 저도 엄마의 사랑과 따뜻한 보살핌으로 성장했고 지금은 엄마가 되어 가족을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을 작품속에 표현하고자 합니다. 작품속 하트나무는 아크릴물감을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화려하게 꾸미며 가족의 사랑과 행복과 희망.꿈을 담고 있습니다. 하트나무아래에 가족의 든든한 울타리가 되어주는 집과 가족애와 부의 상징인 코끼리는 한국의 전통재료인 자개를 이용하여 표현합니다 나에게 있어 희망과 새로운 삶을 살게 해준 붓에게 오늘도 감사하며 저의 평안과 평온이 전해지기를 바랍니다~ Castorpollux~~오늘도 행복하세요

#행복나무
Artist image

노은경

계원예고 미술과 졸업 경기대학교 서양화과 졸업 현) 한국미협 이사 중랑미협 자문위원 서울문화원 운영위원 대한민국회화제, 서울아카데미, 신작전 회원 중랑아트갤러리 운영위원 녹색미협 회원 알파색채 홍보위원 중랑복지관 수채화 강사 중랑미협 회장 역임 수상 2022공로상 2021올해의 작가상 심사 경력 대한민국미술대전 구상 2차 이중섭미술대전 청소년미술대전 중랑구생명존중공모전 동대문청소년미술대전 SH어린이미술대전 강동환경작품공모전 개인전 및 초대전 2024월드아트엑스포(코엑스) 서우갤러리 신년초대 '새날전' 2022갤러리 신상(인사동) 2021히즈아트페어(인사아트프라자) 산촌갤러리(인사동) 초대전 2020라메르(3전시실) 2019예술의전당 한가람 부스개인전 2018SK갤러리(안양) 2017고속버스터미널(한가람) 초대전 토포하우스(1관) 2016유나이티드 초대전(강남) 토포하우스(1관) 남송국제아트쇼(성남아트센터) 2015토포하우스 2관(인사동) 2014가족전AFE(토포하우스1관) 모로갤러리(인사동) 2013중랑중학교 갤러리 개관 초대전 규영갤러리 초대전(서초동) 2012토포하우스(인사동) 2010갤러리수(인사동) 2008갤러리수(인사동) 2005성화개인전(수산교회본당) 2004토포하우스(인사동) 2002삼정아트갤러리(인사동) 2001관훈미술관(인사동) 외 다수의 공무전 특, 입선 그룹전 대한민국회화제 서울아카데미 녹색미협 한강의흐름전 중랑미술협회전 한일미술교류회 한국미술협회지상전 지부장전 서울지회전 토요화가회전 노은경 작가는 자연과 빈 병의 조화를 또 다른 세상으로 표현한다. 작가의 소재는 병, 클로버, 동충(living things) 들이다. 작품 속 버려진 병, 정돈된 병, 깨어진 병, 우아한 병 등 다양한 병은 우리 삶의 모습들이다. 작의 작품 속 길쭉하고 쭈그린 모습의 병들이 마치 사람이 호흡하고 병들의 모습으로 인간의 고뇌와 사랑을 담고 있다. 작가는 그의 삶과 이웃들의 희로애락을 병으로 표현했다. IMF가 터지고 가족의 해체, 국가에 대한 국민의 원성을 바라본 작가는 이웃의 슬픈 모습을 보고 많은 것을 느꼈으며, 가족 간의 위계질서가 무너지고, 이웃 간의 정이 사라지는 모습들을 병(bottle)의 형태로 변형이 되었고, 작가의 작품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작품 속 병은 현대인들의 일탈적 충동만 표출하는 게 아니라 극적 반전을 추구하는 전달자가 늘 등장하고 있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의인화된 병과 자연과 완벽한 조화를 이뤄낸 작품을 통해 처음 보는 장면과 형태지만, 어디선가 존재할 것 같은 작품을 통해 관객들에게 무한한 상상력을 갖게 만든다. 작가의 작품을 보면 4계절의 아름다움 또한 발견할 수 있다. 대한민국의 4계절 색이 인간의 마음을 움직인다는 것, 자연의 냄새가 가슴 아픈 추억도, 행복했던 지난날도 희비가 엇걸리는 순간에도 그림자처럼 떨리는 마음에 진정제가 되어준다. 작가는 작품을 만들 때 흘리고 뿌리는 액션 페인팅적 요소가 강한 밑그림 위에 동양적 여백을 살려가며 진행한다. 작품을 주의 깊게 보면 자연의 질서와 섭리에서 느껴지는 무한한 변화와 색조를 발견할 수 있다. 작품은 현재도 되고, 순간도 되고 미래, 과거도 된다. 누구에게나 이야기의 주인공이 되고자 하는 욕망이 있다. 이루어지기 힘든 꿈도 작가의 캔버스에서는 이룰 수 있다는 희망과 행복이길 바란다고 전한다.

#자연과 빈병
Artist image

이유리

2023 동덕여대 미래전략융합대학원 민화학과 석사졸업 2006 중앙대 예술대학 한국화과 학사졸업 -개인전- 2024 제6회 대한민국아트페어 / 서울무역전시장(SETEC)1관 2022 제4회 대한민국아트페어 / 서울무역전시장(SETEC)1관 2021 산과 물 그리고 민화 초대전 / 갤러리공간35 2020 호텔아트페어민화전 / 이비스앰배서더(명동) 2019 옛 그림의 향연 2부 / 수원미술관 2019 옛 그림의 향연 1부 / 화성행궁 -초대전- 2024 화폭에 담긴 한식 초대전 / 한식진흥원 청룡의 출현 초대전 / 사천미술관 한국 · 인도 수교 50주년 기념 한국민화 초대전 / Odisha State Museum 2023 이탈리아 한국민화정예작가전 / 일백헌 스페인 말라가시청 한국민화초대전 / 월간민화 동덕여대 피움갤러리초대전 (민화 꽃피우다) / 피움갤러리 제주도 월간민화특별기획초대전(옛멋.새멋) / 월간민화 K-일러스트레이션페어(초대전) / 서울 코엑스 D홀 2019 중국산서대학교미술대학초청 한국민화특별전 / 국립진상박물 / 중국 2015 한국 · 이집트 수교 20주년 기념 특별전시 / 한국문화원 -기획전- 2023 제1회 동덕여대 민화학과 동문전 / 동덕아트갤러리 A,B관 동덕여대 민화학과 파리기획전 / Atelier Gustave-Art Gallery 오색찬란회원전 / 이유리채색연구소 단체전 다수 (2014~2024) insta. lee_yuri_artist83 e-mail. gksfl333@naver.com <작가노트> 동양화론에 ‘와유(臥遊)’라는 말이 있다. 누워서 그림 속의 경관을 감상하며 즐겁게 노닌다는 뜻이다. 나는 ‘와유’에 쉰다는 뜻의 ‘휴’의 개념을 더하고 싶었다. 쉬는 것에는 노니는 것과 달리 치유와 힐링을 구할 수 있는 여유가 있다. 노니는 것은 어느 것에도 구애받지 않는 자유와 즐거움이 있다. 나는 쉬고 노니는 공간을 산수화에 담고 싶었다. 내 그림을 보는 감상자에게 자유롭고 편안한 마음의 풍경을 제공하고 싶었다. 이러한 생각을 ‘휴유산수’ 네 글자로 함축했다. 나의 시선은 현실의 산수풍경으로 나를 이끌지만, 궁극적으로는 시각도 시선도 아닌 마음에 머무는 풍경으로 그리고 싶었다. 산수화는 동양화를 전공한 학부 때부터 나의 마음을 사로잡는 무한의 동경과 매력의 대상이 었다. 어렸을 때부터 유독 산수화를 좋아했고, 박물관이나 전시장에 가면 수묵으로 그린 산수 화 앞에 항상 서 있었다. 산수가 나에게 주는 안락함과 평온, 그리고 먹으로 그린 흑백의 모노톤은 나에게 늘 새로운 영감의 원천이었다. 그리고 치유의 시간이자 창작으로 나아가게 하는 힘이 되어주었다. 여행을 가면 내모습 보다 주위의 풍경을 사진 찍어 소장하는 것이 좋았던 시절이 있었다. 눈으로 산수를 보고, 마음으로 느낀 영감을 절충하여 그려보는 것 또한 즐겁고 행복한 작업이었다. 우연히 알게 된 회화식 고지도가 나의 그림을 전환시켜준 계기가 되었다. 고지도 속의 공간은 단지 지명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나에게는 또 다른 여정과 조형의 세계로 이끌어주는 단서가 되었다. 휴식과 안락을 찾아 이곳저곳을 여행하며 느끼게 되는 감정들을 형상과 색으로 표현하였다. 나의 그림에는 몇 가지 중요한 요소가 있다. 그것은 산속에 그려진 패턴과 기와, 그리고 빈 배이다. 산속에 그려진 패턴은 숲과 다양한 식물들, 논과 밭 등을 표현한 것이며, 기와는 향수(鄕愁)와 같은 포근함을 표현한 것이다. 산이나 관광지를 가면 옛 기와들이 많이 있는데 자연과 어우러진 기와를 보고 있으면 마음의 안식처처럼 편안함이 느껴진다. 화려하지도 않고 예쁘지도 않은 무척 투박해 보이는 이 배는 누구의 시선도 신경쓰지 않고 오직 나만의 길을 가겠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강을 따라 혹은 바다를 향해 목적 없이 빈 배를 타고 나는 또 어디론가 향한다.

#민화
Artist image

심인회

심인회(Sim Inhoe) artelly99@naver.com www.instagram.com/sim_inhoe_artist 동덕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과 졸업 개인전 2022 이스트 아뜰리에 서울 초대개인전 2023 서울 레츠런파크내 말 박물관 초대개인전 2024 갤러리 아트버디 강남 초대개인전 그룹전 2020, 2022 BAFF 부산국제아트페어 2022 아트제주 2022 에스티아 초대 그룹전 2023 갤러리HOM 초대그룹전 2023 BAMA 2023 CICA MUSEUM INTERNATIONAL GROP EXHIBITION 2023 SPRING PF PARIS IN PARIS 2023 아시아프 홍대현대미술관 전시 2023 갤러리 아트버디 그룹전 2023 갤러리 엠 그룹전 2023 글로벌다오아트 싱가포르 특별전시회 2023 BAMA IN 그랜드조선 호텔아트페어 2023 동명문화재단 창립기념전 2023 갤러리 림해 특별그룹전 수상 2022 구상전 입상 2022, 2023 대한민국 미술대전입상 2023 아시아프 히든아티스트 선정 2021 부산미술대전 입상 현 부산미술협회 회원 -작가노트- 말은 제 그림의 대상이면서 특별한 존재입니다. 단순히 좋아서 그린다는 개념을 넘어 경주마의 성공을 위한 훈련과정, 시련과 실패의 아픔, 말 한필을 훌륭히 키워내기 위한 노력을 누구보다 잘 알기에 그림을 그릴 때 마다 그 감정들이 작품에 이입되어 때로는 더 섬세하게, 때로는 더 격정적으로 표현하게 됩니다. 저는 때때로 경마장 마방에들려 말들과 교감하고 훌륭한 경주마로 자라기위해 열정을 쏟는 기수, 조교사들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작품에 영감을 받곤합니다. 2분여의 짧은 시간 안 에 결과가 나오는 경마의 세계는 비록 사행산업의 시각으로도 볼 수 있지만 찰나를 위해 노력하는 마주와 기수, 조교사의 노력은 삶의 모습과도 의미가 다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매 경주마다 비슷한 기량의 말들과의 대결은 우리 현대사회의 인간이 쏟는 땀과 노력과 결코 다르지 않습니다. 결승점을 통과하는 순간 기수와 말들의 교감, 그리고 관객들의 환호와 안타까움은 우리인생의 반복되는 일상과도 오버랩 됩니다. 저의 캔버스에 그려진 말들은 질주하는 속도감과 와일드하면서도 숙련된 역동감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말이 가지고 있는 유려한 곡선을 역동감있게 표현함으로 힘찬기운을 작품에 녹여내고자 합니다. 말이 가지고 있는 고유색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색을 말에게 입혀주고 갇혀진 장소에 국한되지 않고 무한한 자유로운 공간으로 초대하여 말들이 뛸수있게 조형의 언어로 그들을 표현합니다. 나의 그림으로 그들의 열정과 노력이 숨가쁜 환희 가 될 수 있도록 사람들은 잘 알지 못하는 경마의 세계를 나의 경험으로 작품을 통해 밖으로 이끌어 내고 그림을 통해 그들의 이야기에 관심을 가지고 보여줌으로써 밝은 이미지로 변화시켜 나가고 싶습니다. 십여년간 마주로 말들을 보아오면서 느꼈던 감정들을 제 손끝을 통해 말과 경마의 세계를 따뜻한 가슴으로 그려 나가겠습니다. 작가의 화폭을 가득 채우고 있는 것은 말과 경마의 세계다. 힘차고 리드미컬한 붓과 나이프의 터치, 경쾌하고 화려한 때로는 무게감이 느껴지는 장엄한 색감은 보는 이의 마음을 뛰게 한다. 작가는 경마장을 자주 찾아 경마가 이루어지기 위한 무수한 장면들을 마주해왔다. 새벽부터 시작되는 훈련, 출발대의 얇은 벽 하나를 사이에 둔 치열한 경쟁 그리고 승리의 희열, 부상이나 패배의 아픔까지. 1~2분 남짓한 매 경주의 치열함을 누구보다 잘 이해하기에 작가가 그리는 경주마와 기수의 퍼포먼스는 들숨날숨처럼 생생하다. 캔버스 위에 흩뿌려진 물감이 우승 세레모니를 연상시키며 화려하게 반짝이는가 하면 경쟁과 실패의 그림자를 표현한 낮은 채도의 작품들도 눈길을 끈다. 작가는 여타 스포츠와 마찬가지로 경마가 경주마와 마주, 조교사, 기수가 한 팀으로 교감하며 오랜 시간 완성해 가는 하나의 작품이라 인식한다. 수많은 경주와 길고 긴 훈련 과정 속에서 파생되는 땀과 노력 그리고 다양한 희로애락의 이야기와 감정을 옆에서 지켜보며 더 섬세하고 격정적으로 표현할 수 있었던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출처 : 오늘경제(https://www.startuptoday.co.kr)

#경주마